카테고리 없음

범망경(梵網經)

wowinchon 2018. 8. 11. 11:42

범망경(梵網經)

불설범망경보살심지품하(佛說梵網經菩薩心地品下)

펴낸곳: 민족사 / 역자: 一指

 

차 례

 

제1장 서품(序品)

 

노사나불의 설법

천 백억의 석가

일체중생의 본원

계에 의해 제불의 지위에 오르다

효와 계는 하나

계는 제불의 근원

 

 

제2장 십중계(十重戒)

 

제1계 산목숨을 해치지 말라(殺戒)

제2계 훔치지 말라(盜戒)

제3계 사음하지 말라(婬戒)

제4계 거짓말하지 말라(妄語戒)

제5계 술을 팔지 말라(酤酒戒)

제6계 사부대중의 허물을 말하지 말라(說四衆過戒)

제7계 스스로를 높이고 남을 헐뜯지 말라(自讚毁他戒)

제8계 인색하여 중생을 괴롭게 하지 말라(慳惜加毁戒)

제9계 화내는 마음으로 참회를 거절하지 말라(瞋心不受悔戒)

제10계 삼보를 비방하지 말라(謗三寶戒)

 

 

제3장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

 

제1계 스승과 벗을 공경하라(不敬師友戒)

제2계 술을 마시지 말라(飮酒戒)

제3계 고기를 먹지 말라(食肉戒)

제4계 오신채(五辛菜)를 먹지 말라(食五辛戒)

제5계 참회하도록 가르치라(不敎懺悔罪戒)

제6계 공양하지 않고 설법을 청하지 말라(不供給請法戒)

제7계 찾아가 법을 청하라(不往聽法戒)

제8계 대승(大乘)의 가르침을 등지지 말라(心背大乘戒)

제9계 병든 이를 간호하라(不看病戒)

제10계 살생하는 도구를 두지 말라(畜殺具戒)

제11계 나라의 사절이 되지 말라(國使戒)

제12계 나쁜 상인이 되지 말라(販賣戒)

제13계 비방하지 말라(謗毁戒)

제14계 불을 질러 생명을 해치지 말라(放火焚燒戒)

제15계 잘못 가르치지 말라(僻敎戒)

제16계 이익을 위하여 그릇되게 설하지 말라(爲利倒說戒)

제17계 세력을 믿고 강제로 구하지 말라(恃勢乞求戒)

제18계 아는 것 업이 스승이 되지 말라(無解作師戒)

제19계 두 말을 하지 말라(兩舌戒)

제20계 방생을 행하라(不行放救戒)

제21계 화내고 때려서 원수를 갚지 말라(瞋打報讎戒)

제22계 교만을 버리고 법문을 청하라(憍慢不請法戒)

제23계 교만심으로 가르치지 말라(憍慢僻說戒)

제24계 부지런히 불계(佛戒)를 배우고 닦으라(不習學佛戒)

제25계 대중을 잘 섬기라(不善知衆戒)

제26계 혼자 이익을 받지 말라(獨受利養戒)

제27계 홀로 초정을 받지 말라(受別請戒)

제28계 스님들을 차별하여 초청하지 말라(別請僧戒)

제29계 나쁜 직업을 갖지 말라(邪命戒)

제30계 속인과 어울려 나쁜 짓을 하지 말라(經理白衣戒)

제31계 값을 치르고 구하라(不行救贖讀戒)

제32계 중생을 해롭게 하지 말라(損害衆生戒)

제33계 나쁜 것을 보거나 듣지 말라(邪業覺觀戒)

제34계 잠시라도 보리심을 잊지 말라(暫離菩提心戒)

제35계 항상 발원을 하라(不發願戒)

제36계 굳센 서원을 세우라(不發誓戒)

제37계 험난한 곳에 가지 말라(冒難遊行戒)

제38계 위 아래의 차례를 어기지 말라(乖尊卑次第戒)

제39계 복덕과 지혜를 닦으라(不修福慧戒)

제40계 가려서 계를 주지 말라(揀擇受戒戒)

제41계 이익을 위해서 스승이 되지 말라(爲利作師戒)

제42계 악인에게 계를 설하지 말라(爲惡人說戒戒)

제43계 고의로 계를 범할 마음을 일으키지 말라(故起犯戒戒)

제44계 경전을 소중히 여기라(不供養經典戒)

제45계 중생을 교화하라(不化衆生戒)

제46계 법답게 설법하라(說法不如法戒)

제47계 옳지 못한 법으로 억누르지 말라(非法制限戒)

제48계 불법을 파괴하지 말라(破法戒)

 

 

제4장 가르침의 부촉

찬탄의 노래

범망경(梵網經)

 

 

제1장 서품(序品)

 

 

노사나불의 설법

 

그때 노사나불(盧舍那佛)<범어 Vairocana의 음사로 비로사나불이라고 함. 노사나불은 무량겁 동안 수행한 끝에 깨달음을 얻었다. 연화장장엄세계해(蓮華藏莊嚴世界海)에 머물며 모공(毛孔)마당에서 화신(化身)을 나투어 시방에 광명을 발하고 무량한 가르침을 베풀어 일체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범망경에서의 노사불은 백 아승지 겁 동안 심지(心地)를 수행하여 깨달음을 열고 연화대장세계(蓮花臺藏世界)에 머물며 천엽백억(千葉百億)의 크고 작은 석가모니 부처님으로 나타나 보살의 심지법문을 설한다.>께서 대중들을 위하여 백 천 항하사 불가설 법문 중의

심지(心地)<마음의 특성을 대지에 비유하는 표현. 대지가 모든 생명을 자라게 하는 것처럼 마음은 모든 공덕을 갈무리하고 있다는 뜻. 심지관경(心地觀經) 관심품(觀心品)에서는 “삼계는 오직 마음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이름 하여 대지라고 한다(三界唯心 心名爲地)”라고 설하고 있다.>를 간략히 열어 보이셨으니 이는 털끝에 묻은 티끌과 같은 것이었다.

이는 과거 모든 부처님이 이미 설했고, 또 미래의 부처님들도 마땅히 설할 것이며 현재의 부처님도 마땅히 설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삼세)의 모든 보살들도 이미 배웠으며 또 마땅히 배울 것이며 지금 배우는 것이다.

내가 백겁이 지나도록 심지(心地)를 수행하였으니 이름을 노사나(盧舍那)라고 하며 그대들 제불(諸佛)은 내가 설하는 바를 일체중생에게 전하여 심지(心地)의 도(道)를 열게 하여라.

그때 마침 연화대장세계(蓮花臺藏世界)의 혁혁천광사자좌(赫赫天光師子座)에 앉아 계시던 노사나불이 빛을 발하시며 천 송이의 연화 위에 앉아 있는 부처에게 말씀하셨다.

“나의 심지법문품(心地法門品)을 수지하고 가서 천 백 억 석가모니 부처와 일체중생에게 전하라. 이제 심지법문품을 설하리니 그대들은 잘 수지 독송하고 한 마음으로 행할지니라.”

 

 

천 백억의 석가

 

그때 천 송이의 연화 위에 앉아 있던 천 백 억 석가가 연화장세계의 혁혁천광사자좌(赫赫天光師子座)에서 일어나 각각 불가사의한 광명을 발하면서 물러갔다.

그 광명은 모두 수많은 부처로 나타나서 일시에 청색, 황색, 적색, 백색의 꽃으로 노사나불(盧舍那佛)께 공양한 뒤, 위에서 설한 심지법문을 수지하여 마치고, 각각 연화장세계에서 물러나 체성허공화광삼매(體性虛空花光三昧)에 들었다.

그리고 본원세계(本願世界) 염부제의 보리수 아래로 돌아가 체성허공화광삼매로부터 나와서 금강천광왕좌와 묘광당에서 십세계해(十世界海)를 설하고, 다시

제석궁(帝釋宮)<제석은 도리천의 왕으로서 사천왕과 삼십이천을 통솔하며 불법과 불법에 귀의한 사람을 보호한다고 한다. 즉 제석궁은 도리천궁이다.>에 이르러

십주(十住)<[화엄경]에서 설하는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52위 중, 제11위(位)에서 제20위까지. 10신위(信位)를 지나서 마음이 진제(眞諦)의 이치에 안주(安住)하는 위치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주(住)라 함.

최초의 십위. 발심주(發心住), 치지주(治地主), 수행주(修行住), 생귀주(生貴住), 방편주(方便住), 정심주(正心住), 불퇴주(不退住), 동진주(童眞住), 범왕자주(法王子住), 주관정주(住灌頂住).

(1) 발심주(發心住). 10신(信)의 종가입공관(從假入空觀)의 관법이 완성되어 진무루지(眞無漏智)를 내고, 마음이 진제의 이치에 안주하는 지위.

(2) 치지주(治地住). 항상 공관(空觀)을 닦아 심지(心地)를 청정하게 다스리는 지위.

(3) 수행주(修行住). 만선(萬善) 만행(萬行)을 닦는 지위.

(4) 생귀주(生貴住). 정히 부처님의 기분(氣分)을 받아 여래 종에 들어가는 지위.

(5) 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 부처님과 같이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방편행을 갖추어 상모(相貌)가 결함(缺陷)이 없는 지위. (6) 정심주(正心住). 용모가 부처님과 같을 뿐만 아니라 마음도 똑같은 지위.

(7) 불퇴주(不退住). 몸과 마음이 한데 이루어 날마다 더욱 자라나고 물러서지 않는 지위.

(8) 동진주(童眞住). 그릇된 소견이 생기지 않고 보리심을 파하지 않는 것이, 마치 동자의 천진하여 애욕이 없는 것과 같아서 부처님의 10신(身) 영상(靈相)이 일시에 갖추어지는 지위.

(9) 법왕자주(法王子住).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지해(智解)가 생겨, 다음 세상에 부처님 지위를 이을 지위.

(10) 관정주(灌頂住). 보살이 이미 불자가 되어, 부처님의 사업을 감당할 만하므로, 부처님이 지수(智水)로써 정수리에 붓는 것이, 마치 인도에서 왕자(王子)가 자라면 국왕이 손수 바닷물을 정수리에 부어 국왕이 되게 하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 또 이것을 탁태(托胎)의 순서를 모방하여, 처음 발심주에서 제4 생귀주까지를 입성태(入聖胎), 제5 구족방편주에서 제8 동진주까지를 장양성태(長養聖胎), 제9 법왕자주를 출성태(出聖胎)라고도 함. 혹은 보살의 10지(地)를 10주라고 한 데도 있음.>

를 설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염천중(炎天中)에 이르러

십행(十行)<보살의 수행계위. [화엄경]에서 설하는 41위 가운데 두 번째의 십위. 환희행(歡喜行)에서 진실행(眞實行)까지의 십행.

10신(信)ㆍ10주(住)에서 나아가 묘각(妙覺)에 이르는 한 계위의 이름. 보살이 10주위의 나중에서 불자(佛子)인 인가를 얻은 뒤에 다시 나아가 이타(利他)의 수행을 완수하기 위하여 중생제도에 노력하는 지위를 10으로 나눈 것.

환희행(歡喜行)ㆍ요익행(饒益行)ㆍ무진한행(無瞋恨行)ㆍ무진행(無盡行)ㆍ이치란행(離癡亂行)ㆍ선현행(善現行)ㆍ무착행(無着行)ㆍ존중행(尊重行)ㆍ선법행(善法行)ㆍ진실행(眞實行).>을 설했다.

다시 자리에서 일어나 제사천(第四天) 중에서

십회향(十廻向)<보살의 수행계위. [화엄경]에서 설하는 41위 가운데 세 번째의 십위. 구호일체중생이상회향(救護一切衆生離相廻向)부터 법계무량회향(法界無量廻向)까지.

10행위(行位)를 마치고, 다시 지금까지 닦은 자리(自利)ㆍ이타(利他)의 여러 가지 행을 일체 중생을 위하여 돌려주는 동시에, 이 공덕으로 불과를 향해 나아가 오경(悟境)에 도달하려는 지위.>를 설하고

화락천(化樂天)<6욕천(六欲天)중의 제5천. 모든 것이 자연히 즐거움으로 변화하는 곳>에 이르러

십선정(十禪定)<신라 승장(勝藏)의 [梵網經菩薩戒本述記]에 의하면 십지(十地)를 닦아 얻은 것을 선정이라고 함>을 설했다.

다시 타화천(他化天)<6욕천(六欲天)중의 제6천. 타화자재천>에 이르러

십지(十地)

<대승불교에서 열반에 이를 수 있는데도 다른 이들을 구원하기 위해 자신의 열반을 연기하는 보살의 수행단계.

보살의 수행단계를 52위(位)로 나눌 경우 제41~50위에 해당하지만, 다만 10지만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지(地)는 '주'(住 vihāra)라고도 불리며, 10지 이외에 7지나 13지를 설정하는 경전도 있다. 그러나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십지경(十地經) Daśabhūmika sūtra〉에 나타나는 체계이다. 이 경에서는 낮은 단계로부터 높은 단계의 차례대로 다음과 같은 10지를 말하고 있다.

곧 ①보살로서의 길을 가기 시작하면서 깨달음에 이르고 다른 이들을 도우려는 생각에 기쁨으로 충만 되어 있는 환희지(歡喜地 pramuditā),

②계율을 지켜 마음의 때가 없어지는 이구지(離垢地 vimalā),

③숭고한 진리에 의해 점차 지혜의 빛을 발하게 되는 명지(明地 prabhākāri),

④선행의 불로써 악한 욕망과 무지를 태워버리는 염지(焰地 arciṣmatῑ),

⑤이제는 선정을 충분히 수행하여 어떤 것에 의해서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난승지(難勝地 sudurjayā),

⑥수행이 더욱 진척되어 연기(緣起)에 대하여 통찰하고 열반에 직면한다고 하는 현전지(現前地 abhimukhῑ),

⑦광대무변한 진리의 세계에 이르러 실재를 있는 그대로 보게 되는 원행지(遠行地 dūraṃgama),

⑧번뇌로 어지러워지는 일이 없으며 목적에 사로잡히지 않아 마음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용출되는 부동지(不動地 acalā),

⑨어떤 것에도 거리낌 없이 통달 자재한 지혜를 얻어 설법교화가 자유자재하게 되는 선혜지(善慧地 Sādhumatῑ),

⑩법신을 완성하여 몸은 허공과 같이 제한이 없게 되고 지혜는 큰 구름처럼 된다는 법운지(法雲地 dharmameghā) 등이다.>

을 설하고 일선(一禪)중에 이르러

십금강(十金剛)

<보살이 대승을 장엄하기 위해 발하는 열 가지 견고한 금강심 또는 금강석과 같이 굳은 보살의 열 가지 큰마음.

(1) 무량무변한 온갖 법을 다 깨달으려는 마음.

(2) 시방(十方) 중생을 제도하여 해탈케 하려는 마음.

(3) 한없는 세계를 모든 불세계의 최상구(最上具)로 장엄하려는 마음.

(4) 자기가 수행한 선근(善根)을 불과보리(佛果菩提)를 위하여, 또 일체 중생을 위하여 회향하려는 마음.

(5) 일체대사(一切大師:佛)에게 널리 승사공양(承事供養)하려는 마음.

(6) 일체제법을 다 진실하게 체험하려는 마음.

(7) 어떤 고통이라도 모두 달게 받으려는 마음.

(8) 오랫동안 수행하여 중생을 교화하되, 피로하여 게으름이 없는 마음.

(9) 자기의 수행을 완성하려는 마음.

(10) 다른 이의 온갖 소원을 만족시키려는 마음.>

을 설하고 이선(二禪)중에 이르러

십인(十忍)

<[화엄경]의 십인품(十忍品)에서 설한 열 가지의 인(忍) - 음성을 따르는 忍과 순응하는 忍, 생멸하는 법이 없는 忍, 꼭두각시와 같은 忍, 아지랑이와 같은 忍, 꿈과 같은 忍, 메아리와 같은 忍, 번개와 같은 忍, 허깨비와 같은 忍, 허공과 같은 忍 -

보살이 무명 번뇌를 끊고, 온갖 법이 본래 적연(寂然)한 줄을 깨달을 때에 생기는 열 가지 안주심(安住心).

(1) 음성인(音聲忍). 음향인(音響忍)이라고도 함. 여러 부처님들이 설법하는 소리에 의하여, 진리를 깨닫고 안주(安住)함.

(2) 순인(順忍). 지혜로 온갖 법을 생각하고 관찰하여, 진리에 수순(隨順)함.

(3) 무생인(無生忍). 불생불멸하는 진여법성(眞如法性)을 증득하여 결정 안주하고, 온갖 법의 형상을 여의는 것.

(4) 여환인(如幻忍). 온갖 법은 인연으로 생기는 것으로 그 성품이 적멸한 것이 마치 환(幻)과 같은 줄 알고 안주함.

(5) 여염인(如焰忍). 물(物)ㆍ심(心)의 현상은 다 아지랑이(陽焰)와 같이 잠시적 존재로 본성이 공적한 것이라 알고 안주함.

(6) 여몽인(如夢忍). 범부의 망심(妄心)은 꿈속의 경계와 같이, 진실성이 없는 줄 알고 안주함.

(7) 여향인(如響忍). 범부의 귀에 들리는 언어 음성은 인연으로 생긴 것이니, 메아리와 같이 진실성이 없는 줄 알고 안주함.

(8) 여영인(如影忍). 범부의 몸은 5온이 모여 생긴 일시적인 집합체로서 진실성이 없는 것이, 마치 그림자와 같은 줄 알고 안주함.

(9) 여화인(如化忍). 온갖 법은 생멸 변화하는 것으로 있는듯 하다가도 없고, 없는듯 하다가도 있어서 마치 변화하는 사상(事象)과 같아서 그 실체가 없는 줄 알고 안주함.

(10) 여공인(如空忍). 세간ㆍ출세간의 온갖 법은 허공과 같아서 붙잡을 수 있는 실체가 없는 줄 알고 안주함.>

을 설했다.

다시 삼선(三禪)중에 이르러 십원(十願)을 설하고, 사선(四禪)중의 마혜수라천왕궁(摩醯首羅天王宮)에 이르러 나의 본원 연화장세계노사나불(本源蓮華藏世界盧舍那佛)께서 설하신 심지법문품(心地法門品)을 설했다.

그 나머지 천 백억 석가도 또한 이와 다름이 없었으니 저 현겁품(賢劫品)에서 설한 바와 같다.

 

 

일체중생의 본원(本源)

 

그때 석가모니 부처님이 처음 연화장세계로부터 나타나 동방에서부터 천궁으로 들어가 마수화경(魔受化經)을 설해 마치셨다.

그 뒤 남염부제 가이라국<범어 Kapilavas의 음사. 석존의 출생지>에 하생하셨으니 어머니의 이름은 마야(摩耶)이며 아버지의 자는 백정(白淨)이었다.

그의 이름은 실달이며 칠세에 출가하여 삼십에 성도하고 호를 석가모니불이라고 불렀다.

적멸도량의 금강화광왕좌와 마혜수라천왕궁에 앉아서 차례로 십주(十住)를 설하셨다.

그때 부처님께서 여러 대범천왕의 망라당(網羅幢)<보배구슬로 짜인 그물. 대승경전에서는 법계의 장엄을 표현할 때 쓰임. 구슬과 구슬이 서로 빛을 발하여 마치 거대한 샹들리에처럼 우주를 장엄하고 있는 그물>을 보시고 인하여 설하시되 무량세계가 마치 그물코와 같아서 낱낱 세계가 각각 다르고 그 다름이 또한 무량하니 부처님의 가르침도 이와 같았다.

내가 이제 이 세계에 오기를 팔천 번 하였으니 이 사바세계를 위해 금강화광왕좌와 마혜수라천궁에 앉아서 간략히 심지법문을 설해 마친 뒤, 다시 천왕궁으로부터 염부제의 보리수 아래에 이르기까지, 이 지상의 일체중생과 어리석고 어두운 사람들을 위하여 나의 본사(本師)이신 노사나불께서 심지(心地) 중의 초발심으로부터 항상 외우시던 한 가지 계(戒)인 광명금강보계를 설하리니 이는 일체 모든 부처의 본원이며 일체보살의 본원이며 불성종자(佛性鐘子)이다.

일체중생이 모두 부처님의 성품을 갖추고 있어 일체 의식(意識)과 색심(色心)과 정(情)과 마음이 모두 불성계(佛性戒) 가운데로 들어가나니 항상 마땅한 인연이 있으므로 법신이 상주함이로다.

이와 같이 십바라제목차(十波羅提木叉)<바라제목차는 범어 Pratimoksa의 음사. 해탈에 도달하는 열 가지 근본계>를 세계에 내놓으니 이는 법계(法戒)이며 삼세 일체중생이 머리에 이고 받들어 지님이로다.

내가 이제 마땅히 대중들을 위하여 거듭 무진장계품을 설하노니 이는 일체중생의 계이며 본원자성이 청정함이로다.

 

 

계(戒)에 의해 제불(諸佛)의 지위에 오르다

 

내가 이제 노사나불의 연화대에 앉았으니 두루 펼쳐진 천 송이의 연꽃 위에 다시 천 석가가 있느니라.

한 송이에 백 억 국(國)이요, 일국(一國)에 한 석가로다.

각각 보리수에 앉아서 일시에 불도를 이루었으니 이와 같이 천 백억 석가는 노사나불이 본신이로다.

천 백억 석가가 각각 미진의 대중을 데리고 모두 나의 처소에 와서 나의 불계(佛戒) 외움을 듣노니 감로문이 이제 열림이로다.

이때 천 백억 석가가 본래의 도량으로 돌아가 각각 보리수에 앉아서 나의 본사계(本師戒)인 십중사십팔경계(十重四十八經戒)<범망경의 열 가지 근본계와 마흔 여덟 가지 부수적인 계. 범망경의 중심주제>를 외우노니 계는 밝기가 해와 달 같으며 또한 보배구슬과 같아서 미진과 같은 보살의 무리가 이로 말미암아 정각을 이룸이로다.

노사나불께서 외우실제 나도 또한 이와 같이 외움이로다.

그대들 새로 배우는 보살들도 계를 머리에 받들고 수지할 것이며 이미 계를 받았거든 모든 중생에게 전수할지어다.

나의 계 외움을 잘 들으라.

불법 중의 계장(戒藏)은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니라.

대중은 지성스러운 마음으로 믿으라.

그대는 장차 부처가 될 것이요, 나는 이미 부처를 이루었으니 항상 이와 같이 믿으면 계품(戒品)이 스스로 구족하리라.

일체 마음 있는 중생은 모두 마땅히 불계(佛戒)를 받으라.

중생이 불계를 받으면 곧 제불의 지위에 들어감이로다.

위(位)가 대각(大覺)과 같아야만 참된 불자일지니 대중은 마땅히 공경하여 지극한 마음으로 나의 계 외움을 들으라.

 

 

효(孝)와 계(戒)는 하나

 

그때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에 앉으셔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이루시고 처음으로 보살의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를 말씀하시니 부모와 스승, 스님 그리고 삼보(三寶)에 효순(孝順)하는 것이니라.

효는 이름 하여 戒(戒)라고 하며 또한 이름 하여 제지(制止)라고 함이로다.

부처님께서 입으로 무량한 광명을 발하시니 이때 백천만억 대중과 여러 보살, 십팔범천과 육욕천자(六欲天子)<육계 6천. 사천왕천(四天王天), 삼십삼천(三十三天), 야마천(夜摩天), 도솔천(兜率天), 화락변천(化樂變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와 십육대국왕(十六大國王)이 합장하고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께서 외우시는 일체제불의 대승계를 들었다.

 

 

계(戒)는 제불(諸佛)의 근원

 

부처님께서 모든 보살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지금 반월반월(半月半月 15일)마다 스스로 모든 부처님의 법계(法戒)를 외우노니 그대들 일체발심보살과

십발취(十發趣)<십주(十住)>,

십장양(十長養)<십행(十行)>,

십금강(十金剛)<십회향(十廻向)>,

십지(十地)<[화엄경]에서 설하는 보살의 수행계위. 환희지(歡喜地)에서부터 법운지(法雲地)까지>

에 오른 모든 보살들도 또한 독송하라.

이런 까닭에 계(戒)의 광명이 입으로부터 나온 것이니 인연이 없는 것이 아니니라.

그러므로 모든 빛이 청색이나 황색, 적색, 백색, 흑색이 아니며 색(色)도 아니고 마음도 아니며[非色非心]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며[非有非無] 또 인과법(因果法)도 아니니, 이는 모든 부처님의 본원이며 보살도를 행하는 근본이며, 바로 대중 불자의 근본이니라.

그러므로 불자들은 마땅히 수지하고 독송하며 잘 배울지니라.

불자들이여, 잘 들으라.

만약 불계(佛戒)를 받으려고 하는 자가 국왕(國王)이나, 왕자, 백관(百官), 재상, 비구, 비구니, 십팔범천(十八梵天), 육욕천자(六欲天子), 서민(庶民), 황문(黃門)<범어 Pandaka의 역어. 내시(內侍)를 가리키는 말로서 성불구자이며 출가하여 비구가 될 수 없다.>, 음남(淫南), 음녀(淫女), 노비(奴婢), 팔부귀신(八部鬼神)<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부류의 무리.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가루라(迦樓羅), 아수라(阿修羅), 마후라가(摩喉羅迦), 긴나라(緊那羅)>, 금강신(金剛神), 축생과 내지 변화로 나타난 사람일지라도 단지 법사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으면 모두 계를 받을 수 있으니 모두 이름 하여 제일청정자(第一淸淨者)라고 하느니라.

 

 

 

제2장 십중계(十重戒)

 

 

부처님께서 모든 불자에게 말씀하시되 “열 가지 중요한 바라제목차[十重波羅提木叉]가 있으니 만약 보살계를 받고 이 계를 외우지 않으면 보살이 아니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는 불자가 아니니라.

나 또한 이와 같이 외우노니 모든 불자들이 이미 배웠으며 또 모든 보살들이 다가올 미래에 배울 것이며 모든 보살들이 지금 배우느니라.

이제 간략히 보살의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의 모습을 설하리니 응당히 배워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받들어 수지할지어다.”

 

 

제1계 산목숨을 해치지 말라(殺戒)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만약 불자로서 스스로 산목숨을 죽이거나 다른 사람에게 죽이게 하거나 방편을 써서 죽이거나 찬탄하거나 속여서 죽이거나 죽는 것을 보고 기뻐하거나 주술로 죽이는 일을 하지 말지니, 죽이는 이유[殺因]과 죽이는 까닭[殺緣]과 죽이는 방법[殺法]과 죽이는 업[殺業]<살인(殺因)~~살업(殺業)까지 산목숨을 해치는 네 가지 형태의 내면, 외면적 조건. 살인(殺因)은 살해하려는 의지, 살연(殺緣)은 의지에 부수되는 보조적 조건, 살법(殺法)은 칼과 약 등과 같이 살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 살업(殺業)은 살해에 따르는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의미한다. 이 후 계속되는 십중계의 설법에서 이 네 가지 조건은 그 계의 조목만 바뀔 뿐 적용은 같다.>으로 일체 생명 있는 것을 짐짓 죽이지 말라.

보살은 마땅히 변함없는 자비심과 효순심(孝順心)을 일으켜서 방편으로 일체중생을 구호해야 하거늘 도리어 자만심과 즐거운 생각으로 살생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波羅夷罪)<범어 Parajika의 음사. 타승처(他勝處), 단두(斷頭)라고 번역. 이 죄를 근본 죄라고 하며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가 이 죄를 범하면 스님의 자격을 상실하고 교단에 추방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수행의 결과를 상실하고 아비지옥에 떨어진다고 한다.>에 해당되느니라.

 

 

제2계 훔치지 말라(盜戒)

 

불자로서 스스로 훔치거나 다른 사람에게 훔치게 하거나 방편을 써서 훔치거나 주술로 훔치는 일을 하지 말지니, 훔치는 이유와 훔치는 까닭과 훔치는 방법, 훔치는 업(業)도 짓지 말라. 또 귀신의 것이나 주인이 있는 물건이거나 도둑이 훔친 것이거나 일체 모든 물건, 즉 바늘 한 개, 풀 한 포기라도 짐짓 훔치지 말지니라.

보살은 마땅히 부처님의 성품과, 효순심과 자비심을 일으켜 항상 모든 사람들에게 복락을 주어야 하거늘, 오히려 다른 사람의 재물을 훔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波羅夷罪)에 해당되느니라.

 

 

제3계 사음하지 말라(婬戒)

 

불자로서 스스로 사음하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사음하게 하거나 또는 일체 여인과 더불어 짐짓 사음하지 말지니 사음하는 이유와 사음하는 까닭과 사음하는 방법과 사음하는 업(業)으로서 축생녀와 제천(諸天), 귀신녀와 비도(非道)<성기 이외의 기관>로 사음하지 말지니라.

보살은 마땅히 효순심을 내어서 일체중생을 구원하여 청정법을 베풀어야 하거늘, 오히려 모든 사람들에게 음심을 일으켜서, 축생이나 어미나 딸이나 자매나 육친을 가리지 않고 음행하는 자비심이 없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되느니라.

 

 

제4계 거짓말하지 말라(妄語戒)

 

불자로서 스스로 거짓을 말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거짓을 말하게 하거나 방편을 써서 거짓을 말하지 말지니, 거짓말하는 이유와 거짓말 하는 까닭과 거짓말 하는 방법과 거짓말하는 업(業)도 짓지 말지니라.

또 보지 않고 보았다고 말하며, 보고도 보지 않았다고 말하여서 몸과 마음으로 거짓을 짓지 말라.

보살은 항상 바른 말과 바른 견해로써 일체중생들에게 바른 말과 바른 견해를 내게 해야 하거늘 도리어 일체중생에게 삿된 말과 삿된 견해[邪見]와 삿된 업[邪業]을 일으키게 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되느니라.

 

 

제5계 술을 팔지 말라(酤酒戒)

 

불자로서 스스로 술을 팔거나 다른 사람에게 술을 팔게 하지 말지니, 술을 파는 이유와 술을 파는 까닭과 술을 파는 방법과 술을 파는 업을 짓는 등 일체의 술을 짐짓 팔지 말지어다.

술은 죄를 일으키는 원인이니 보살은 마땅히 일체중생에게 맑고 통달한 지혜를 일으키게 해야 하거늘 도리어 일체중생에게 전도(顚倒)된 마음을 일으키려 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되느니라.

 

 

제6계 사부대중의 허물을 말하지 말라(說四衆過戒)

 

불자로서 스스로 출가자나 재가자 또는 보살이나 비구, 비구니의 허물을 말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허물을 말하게 하지 말지니, 허물을 말하는 이유와 허물을 말하는 까닭과 허물을 말하는 방법과 허물을 말하는 업도 짓지 말라.

보살은 외도악인과 이승악인(二乘惡人)<이승은 성문(聲聞), 연각(緣覺). 소승의 수행자를 말함>이 부처님의 가르침과 계율과는 다른 것을 말하거든 항상 자비심을 베풀어서 악인배(惡人輩)를 교화하여 그로 하여금 대승의 바른 믿음을 내게 해야 하거늘 도리어 불법(佛法)의 허물을 말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되느니라.

 

 

제7계 스스로를 높이고 남을 헐뜯지 말라(自讚毁他戒)

 

불자로서 스스로를 높이고 남을 비방하며 또 사람을 시켜서 스스로를 높이게 하고 남을 비방하게 하지 말지니, 남을 비방하는 이유와 비방하는 까닭과 비방하는 방법과 비방하는 업도 짓지 말라.

보살은 일체중생을 대신해서 스스로 비방과 욕됨을 받으며 나쁜 일은 자기에게 돌리고 좋은 일은 타인에게 돌려야 하거늘 만약 자기의 덕을 드러내기만 하고 타인의 좋은 일은 감추어서 타인으로 하여금 헐뜯음을 받게 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되느니라.

 

 

제8계 인색하여 중생을 괴롭게 하지 말라(慳惜加毁戒)

 

만약 불자로서 스스로 인색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인색하게 하지 말지니 인색한 이유와 인색한 까닭과 인색한 방법과 인색한 업도 짓지 말라.

보살은 가난한 사람이 와서 구걸하면 그 사람의 필요한 바에 따라서 일체를 베풀어야 하거늘 도리어 나쁜 마음과 화내는 마음으로 바늘 한 개, 풀 한 포기도 주지 않으며, 또 법을 구하는 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위해 한 구절의 게송이나 한 가지의 법문도 일러주지 않고 도리어 꾸짖어 모욕을 주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하느니라.

 

 

제9계 화내는 마음으로 참회를 거절하지 말라(瞋心不受悔戒)

 

불자로서 스스로 화내거나 다른 사람에게 화내게 하지 말지니, 화내는 이유와 화내는 까닭과 화내는 방법과 화내는 업도 짓지 말라.

보살은 마땅히 일체중생에게 좋은 인연으로 다툼이 없게 해야 하며 항상 자비심과 효순심을 내게 해야 하거늘 도리어 일체중생과 무정물(無情物)에 까지도 나쁜 소리로 꾸짖고 욕하며 손으로 때리거나 칼과 몽둥이로 해치고도 오히려 뜻을 쉬지 못하며 또 참회하기를 구하려는 사람이 좋은 뜻으로써 참회하여도 오히려 화를 풀지 않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하느니라.

 

 

제10계 삼보를 비방하지 말라(謗三寶戒)

 

불자로서 스스로 삼보(三寶)를 비방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을 시켜 삼보를 비방하지 말라. 또 비방하는 이유와 비방하는 까닭과 비방하는 방법과 비방하는 업을 짓지 말라.

보살은 외도와 악인이 한마디라도 불법을 비방하는 소리를 듣거든, 삼백 대의 창으로 마음을 찌르는 것처럼 여겨야 하거늘 오히려 스스로의 입으로 비방하리오. 신심과 효순심을 내지 않고 오히려 악인과 사견인(邪見人)과 함께 삼보를 비방하는 자는 보살의 바라이죄에 해당되느니라.

 

 

잘 배우는 모든 어진 이들이여,

이 보살의 십바라제목차(十波羅提木叉)를 마땅히 배워서 그것을 조금이라도 범하지 말아야 하거늘, 하물며 열 가지 계(戒)를 모두 범하리오.

만약 범하는 자가 있다면 현재의 몸으로 보리심을 발하지 못하며 또한 국왕의 자리와 전륜왕의 자리를 잃을 것이며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의 자리를 잃을 것이다.

또한 십발취(十發趣)<십주(十住)>, 십장양(十長養)<십행(十行)>, 십금강(十金剛)<십회향(十廻向)>, 십지(十地)<보살이 수행하는 오십이위(五十二位) 단계 가운데 제41위에서 제50위까지의 단계. 환희지(歡喜地), 이구지(離垢地), 명지(明地), 염지(焰地), 난승지(難勝地), 현전지(現前地), 원행지(遠行地), 부동지(不動地), 선혜지(善慧地), 법운지(法雲地)이다. 부처의 지혜를 생성하고 온갖 중생을 교화하여 이롭게 하는 단계이다.>와 불성상주묘과(佛性常住妙果)를 잃을 것이며, 일체를 모두 잃고 삼악도(三惡道)에 떨어져서 이 겁, 삼 겁이 지나도록 부모와 삼보(三寶)의 이름도 듣지 못하리니, 단 하나라도 범하지 말지니라.

그대 일체 보살들은 지금 배울 것이며 미래의 보살들도 배울 것이니 이와 같은 십계를 공경스러운 마음으로 받들어 수지하라.

팔만위의품(八萬威儀品)에 마땅히 널리 밝혔느니라.

 

 

 

제3장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

 

 

부처님께서 모든 보살들에게 말씀하시되 이미 십바라제목차(十波羅提木叉)를 설해 마쳤으니 이제 마땅히 마흔 여덟 가지 가벼운 계[四十八經戒)를 설하리라.

 

 

제1계 스승과 벗을 공경하라(不敬師友戒)

 

불자로서 국왕의 지위를 받을 때나 전륜왕의 지위를 받을 때 또 백관의 자리를 받을 때는 마땅히 먼저 보살계(菩薩戒)를 받으라.

일체의 모든 신이 왕과 백관의 몸을 보호할 것이며 모든 부처님께서 환희하실 것이로다.

이미 계를 받았거든 효순심(孝順心)과 공경심을 내어서 상좌(上座)<승단의 수석 스님>와 화상(和尙)<범어 Upadhya의 역어. 친교사(親敎師)>, 아사리(阿闍梨)<범어 Acarya의 음사. 궤범사(軌範師)-궤칙을 고수하고 바른 행위를 후학들에게 가르치는 스님>, 대덕(大德)<큰 스님>, 동학(同學)<같이 공부하는 도반>, 동견(同見)<같은 생각을 갖은 사람>, 동행자(同行者)<같이 수행하는 사람>를 보거든, 마땅히 일어나 맞이하고 예배하며 문안해야 하거늘, 도리어 교만심과 어리석은 마음, 화내는 마음으로 영접, 예배하지 않으며, 하나하나 법답게 공양하지도 않으며, 스스로 몸을 팔고 나라와 성, 아들과 딸 칠보(七寶)<일곱 가지 보물- 금, 은, 유리, 수정, 자거, 산호, 마노>와 백 가지 보물을 팔아서라도 공양해야 하거늘 만약 그렇지 않는 자는 경구죄(輕垢罪)<가벼운 죄>를 범하느니라.

 

 

제2계 술을 마시지 말라(飮酒戒)

 

불자로서 짐짓 술을 마시지 말라.

술은 한량없는 허물<음주에 따르는 여러 가지 과실 - [사분율] 권 10에서는 열 가지 과실을 지적하고 있다. ①안색이 나빠지며 ②힘이 줄어들며 ③눈이 나빠지며 ④화를 자주 내며 ⑤질병이 늘어나며 ⑥살림살이를 낭비하게 되며 ⑦싸움이 늘어나고 ⑧나쁜 소문이 생기며 ⑨지혜가 감소되며 ⑩죽은 후에 삼악도에 떨어지게 된다. 고 함>을 낳거니 만약 자신의 손으로 술잔을 들어 다른 사람에게 술을 마시게 할지라도 오백생을 손이 없는 과보를 받게 되거늘 하물며 스스로 마시겠는가?

또한 모든 사람과 중생에게 마시게 해도 안 되거늘 하물며 스스로 마시겠는가?

만약 짐짓 스스로 마시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마시게 하면 경구죄(輕垢罪)를 범하느니라.

 

 

제3계 고기를 먹지 말라(食肉戒)

 

불자로서 스스로 고기를 먹지 말라. 또 일체중생의 고기를 먹지 말라.

고기를 먹으면 자비심과 불성종자(佛性鐘子)를 끊어서 일체중생이 보면 달아나게 되느니라.

그러므로 모든 보살들은 일체 중생들의 고기를 먹지 말지어다. 고기를 먹으면 한량없는 죄를 짓게 되느니라.

만약 고의로 고기를 먹으면 경구죄(輕垢罪)를 범하느니라.

 

 

제4계 오신채(五辛菜)를 먹지말라(食五辛戒)

 

불자로서 오신채(五辛菜)<자극성이 강해 음식에 넣어 먹으면 음심을 일으키고 자주 화를 내게 하여 수행에 방해가 된다는 식물. ‘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를 가리키며, 율장(律藏)에 따르면, 이러한 음식을 공양하면 입 주위에 귀신이 달라붙는다고 한다. 또 『능엄경』에서 “모든 중생이 삼매를 닦을 때는 마땅히 세간의 다섯 가지 매운 채소를 끊어야 하나니 이 다섯 가지 채소를 익혀서 먹으면 음란한 마음이 일어나고, 날 것으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을 더하게 하기 때문이니라. 또 이 오신채를 먹는 사람은 삼매를 닦더라도 보살, 하늘 신선 및 시방의 선신들이 와서 수호하지 않는다.”>를 먹지 말지니 마늘, 부추, 파, 달래, 무릇[興渠-파, 마늘의 일종]과 같은 오신채를 모든 음식물에 넣어서 먹지 말지어다.

만약 스스로 먹는 자는 경구죄(輕垢罪)를 범하느니라.

 

 

제5계 참회하도록 가르치라(不敎懺悔罪戒)

 

만약 불자로서

팔계(八戒),

<5계를 수지하는 재가 신자가 매년 삼장재월(三長齋月-정월, 5월, 9월)의 6재일(六齋日-8일, 14일, 15일, 24일, 29일, 30일)에 지켜야 하는 여덟 가지 계율.

①불살생계(不殺生戒)

②불투도계(不偸盜戒)

③불사음계(不邪淫戒)

④불망어계(不妄語戒)

⑤불음주계(不飮酒戒)

⑥불비시식계(不非時食戒)-때가 아니면 먹지 말 것

⑦이가무관청향유도신계(離歌舞觀廳香油塗身戒)-꽃다발을 쓰거나 몸에 향을 바르고 구슬로 된 장식물을 하지 말며 노래하고 춤추지 말 것

⑧이고광대상계(離高廣大床戒)-높고 넓으며 잘 꾸민 평상에 앉지 말 것>

오계(五戒),

<재가신자가 기본적으로 수지해야 하는 다섯 가지 근본계율.

①불살생계(不殺生戒) ②불투도계(不偸盜戒) ③불사음계(不邪淫戒) ④불망어계(不妄語戒) ⑤불음주계(不飮酒戒)>

십계(十戒)

<20세 미만의 출가수행자, 즉 사미, 사미니가 지켜야 할 열 가지 계율.

①불살생계(不殺生戒) - 살아 있는 생명을 해치지 말라.

②불투도계(不偸盜戒) - 주지 않는 것을 갖지 말라.

③불사음계(不邪淫戒) - 음란한 행위를 하지 말라.

④불망어계(不妄語戒) - 거짓을 말하지 말라.

⑤불음주계(不飮酒戒) - 술을 마시지 말라.

⑥불착향화만부향도신(不着香華鬘不香塗身) - 꽃다발을 쓰거나 향유를 바르지 말라.

⑦불가무창기불왕관청(불가무창기불왕관청(不歌舞娼伎不往觀廳) - 노래하고 춤추고, 풍류에 빠지지 말며 가서 구경하지도 말라.

⑧부좌고광대상계(不坐高廣大床戒) - 높고 큰 좌석에 앉지 말라.

⑨불비시식계(不非時食戒) - 때 아닌 때에 먹지 말라.

⑩불촉지생상금은보물(不促持生像金銀寶物) - 본 빛인 금, 은 보물을 갖지 말라.

를 범하는 것을 보거나, 삼보를 헐뜯거나

칠역(七逆),

<①부처님 몸에 피를 내게 한 자(出佛身血) ②아버지를 죽인 자(殺父) ③어머니를 죽인 자(殺母) ④승단의 화합을 깨뜨린 자(破和合僧) ⑤경이나 불상을 태운 자(焚燒經等像) ⑥화상을 죽인 자(殺和尙) ⑦아사리를 죽인 자(殺阿闍梨).

칠역의 죄를 범하면 현생의 몸으로 계를 받을 수 없으며 목숨이 다하면 아비지옥에 떨어진다고 한다.>

팔난(八難)

<불법을 만날 수 없는 여덟 가지 어려움.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장수천(長壽天), 변지(邊地), 맹롱음아(盲壟瘖瘂), 세지변총(世智辯聰), 불전불후(佛前佛後)>

등의 일체 계율을 범하거든 마땅히 가르쳐 참회하도록 해야 한다.

보살이 이 같은 사람을 참회시키지 아니하고 함께 지내며 공양을 받으면 안 된다.

또, 포살(布薩)<범어 Posadha, uposadha의 음사. 공주(共住), 설계(設戒)라고 번역. 같은 지역 안에 거주하는 비구들이 한 곳에 모여 계본을 외우고, 그 계본을 위반하였을 때는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는 행사. 한 달에 두 번, 매월 15일과 30일에 행한다.>하며 대중과 함께 계를 드러내 참회시키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6계 공양하지 않고 설법을 청하지 말라(不供給請法戒)

 

만약 불자로서 대승의 법사(法師)와 대승을 배우는 지견이 같은 이[同見]와 같이 수행하는 도반[同行]이 백 리 천 리로부터 절이나 마을 집, 성읍(城邑)<성(城)은 국왕이 사는 곳, 읍(邑)은 인민, 관리가 사는 곳>으로 오는 것을 보거든,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영접하고 예배, 공양하라.

날마다 세 때를 공양하되 금 석 냥 값어치의 백 가지 음식과 의자와 의약품으로 법사를 공양하라.

일체의 필요한 바를 남김없이 공양하며, 항상 법사에게 세 때 설법을 청할 것이며, 세 때 예배하되 화내는 마음과 괴로워하는 마음을 갖지 말고, 법을 위해 몸을 다하여 법을 청하는데 게으름이 없어야 하거늘 만약 그렇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7계 찾아가 법을 청하라(不往聽法戒)

 

불자여, 어떤 곳에서든 법과 비니(毘尼)<계율. 범어 Vinaya의 음사. 조복(調伏)이라 옮겨지며 율(律)을 의미>와 경율을 강의하거나 큰 건물에서 법을 강의하는 곳이 있거든, 새로 배우는 보살은 마땅히 경율을 소지하고 법사가 있는 곳으로 가서 법을 청하여 듣고 여쭐지어다.

또 산림과 나무 밑, 절, 모든 설법처에 가서 법을 들을지니 만약 법을 듣고 묻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8계 대승(大乘)의 가르침을 등지지 말라(心背大乘戒)

 

불자로서 대승의 가르침인 경전과 계율을 등지며, 또 부처님 말씀이 아니라고 말하며 이승(二乘)인 성문(聲聞)과 외도의 악견(惡見), 일체 금계(禁戒)를 어기며 삿된 경율을 수지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9계 병든 이를 간호하라(不看病戒)

 

불자로서 일체 병든 사람을 보거든 항상 마땅히 공양하되 부처님과 다름없이 할지어다.

여덟 가지 복전(福田)

<八福田-복을 낳는 여덟 가지 근원. 복전은 범어 punya-ksetra의 역어. 복덕을 낳은 밭이라는 뜻.

부처님이나 승가와 같은 존경의 대상은 경전(經田), 스승과 부모와 같이 은혜를 갚지 않으면 안 되는 존재를 은전(恩田), 병자, 빈자와 축생 같이 자비와 구제가 필요한 대상을 비전(悲田) 등 이 모두를 합하여 팔복전(八福田)이라고 한다. 즉,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와 부모, 사승(師僧-스승), 빈자, 병자, 축생>

가운데 병든 이를 간호하는 복전이 으뜸가는 복전이라.

만약 부모나 스승, 제자가 병들어서 몸이 불편하며 백 가지 병으로 고통 받거든 모두 공양하여 낫게 해야 하거늘, 보살이 성내는 마음으로 간호하지 않거나 승방과 성읍, 들, 산림, 도로에서 병든 이를 보고도 구제하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0계 살생하는 도구를 두지 말라(畜殺具戒)

 

불자는 모든 칼, 몽둥이, 활, 화살, 창, 도끼 등 싸움을 위한 무기를 두지 말며 그물과 덫 등의 살생도구를 두지 말지어다.

보살은 오히려 부모를 죽인 자에게도 원수를 갚지 않아야 하거늘 하물며 일체중생을 죽이리오.

중생을 죽이는 도구를 두지 말지니 만약 고의로 두는 사람은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이와 같은 열 가지 계율을 마땅히 배울지니 공경하는 마음으로 받들어 지닐지어다.

육도품(六度品) 중에 널리 밝혔느니라.

 

 

제11계 나라의 사절이 되지 말라(國使戒)

 

불자로서 자기의 이익을 위하는 나쁜 마음으로, 나라의 사신이 되어서 군진(軍陣)에서 회합하며 군대를 일으켜 서로 싸우게 하여 많은 중생들을 죽이게 하지 말라.

보살은 오히려 군진에 왕래하지도 말아야 하거늘 하물며 고의로 나라의 적이 되리오.

만약 고의로 범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2계 나쁜 상인이 되지 말라(販賣戒)

 

불자로서 선량한 사람과 노비와 닭, 소, 개, 말, 양, 돼지 등 여섯 가지 짐승을 사고 팔며 거리에서 관(棺) 만드는 나무와 판자 등 시체를 담는 도구를 판매하지 말라.

보살은 이와 같은 것을 스스로 만들거나, 팔지도 말아야 하거늘 하물며 다른 사람들에게 시켜 만들고 팔게 하겠는가?

만약 짐짓 스스로 만들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만들게 하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3계 비방하지 말라(謗毁戒)

 

불자로서 이유 없이 선량한 사람과 법사, 사승(師僧), 국왕, 귀인 등이 칠역죄(七逆罪)와 십중계(十重戒)를 범했다고 비방하지 말라.

보살은 부모 형제, 육친에게 마땅히 효순심과 자비심을 내야 하거늘 도리어 비방과 해독을 가하여 좋지 못한 곳에 떨어지게 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4계 불을 질러 생명을 해치지 말라(放火焚燒戒)

 

불자로서 나쁜 마음으로 큰 불을 놓아서 산림과 광야를 태우며 특히 4월과 9월 사이에 불을 질러서 타인의 가옥과 성읍, 절, 밭과 나무, 귀신궁물(鬼神宮物) 등을 태우지 말라.

또 모든 생명 있는 것을 고의로 불태우지 말지어다.

만약 고의로 불태우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5계 잘못 가르치지 말라(僻敎戒)

 

불자로서 모든 불제자로부터 외도악인과 육친과 일체 선지식에 이르기까지, 마땅히 대승의 경율을 수지할 것을 가르쳐서 그 뜻을 깨닫게 하고 또 십발취심(十發趣心), 십장양심(十長養心), 십금강심(十金剛心)의 서른 가지 마음을 순서대로 바로 가르쳐 알게 해야 하거늘, 보살이 나쁜 마음과 화내는 마음으로 성문(聲聞)과 외도사견의 경론을 가르치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6계 이익을 위하여 그릇되게 설하지 말라(爲利倒說戒)

 

불자로서 마땅히 좋은 마음으로 먼저 대승의 위의(威儀)와 경율을 배워서, 그 뜻을 널리 깨닫고 난 후에, 새로 배우는 보살이 백 리, 천 리로부터 와서 대승의 경율을 구하거든, 법답게 그를 위하여 일체 고행을 설하되 “몸이나 팔, 손가락을 태워서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되 그렇지 않으면 출가 보살이 아니니라.”라고 일러주어야 하며, 또 “주린 호랑이나 사자와 일체 아귀에게 몸과 수족을 버려서 공양할지어다.”라고 말한 뒤, 순서대로 바른 가르침을 설하여 마음을 깨닫고 가르침의 뜻을 알게 해야 하거늘 만약 보살이 자신의 이익을 위하는 까닭에 제대로 알려주지 않으며, 경율 문자를 그릇되게 설하고 앞뒤가 틀리게 하여 삼보를 비방하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7계 세력을 믿고 강제로 구하지 말라(恃勢乞求戒)

 

불자로서 자신의 음식과 돈과 이익과 명예를 위해서 국왕이나 왕자, 대신, 백관을 사귀어서 세력을 만들며 때리고 협박하여 남의 돈과 재물을 강제로 빼앗지 말라. 억지로 일체의 이익을 구하는 것은 나쁘게 구하는 것이며 분수에 넘치게 구하는 것이니 자기 이익에 눈이 어두워 자비심과 효순심이 없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8계 아는 것 업이 스승이 되지 말라(無解作師戒)

 

불자로서 마땅히 십이부경(十二部經)

[십이부경(十二部經) ;

부처님의 교설을 그 경문의 성질과 형식 등으로 구분하여 열둘로 나눈 것.

십이분경(十二分經)이라고도 한다.

 

①수다라(修多羅, sutra)

- 계경(契經)이라 번역. 경전중에 바로 법의(法義)를 설한 장항(長行)의 산문.

②기야(祇夜, geya)

- 중송(重頌), 응송(應頌)이라고 번역. 산문체 경문의 뒤에 그 내용을 운문으로써 노래한 것.

③가타(伽陀, gatha)

- 풍송(諷頌) 또는 고기송(孤起頌)이라 번역. 장항(長行)에 의하지 않고 바로 게송으로 설한 것.

④니다나(尼陀那, nidana)

- 인연(因緣)이라 번역. 부처님의 설법교화의 인연을 설한 것.

⑤이데왈다가(伊帝曰多伽, irivrtaka)

- 본사(本事)라 번역. 불제자들의 과거세 인연을 설한 것.

⑥사타가(闍陀伽, jataka)

- 본생(本生)이라 번역. 부처님의 과거세 인연을 설한 경문.

⑦아부타달마(阿浮陀達摩, adbhuta-dharma)

- 미증유(未曾有)라고 번역. 부처님께서 여러 가지 신통력을 나타내시는 것을 말한 경문.

⑧아바타나(阿波陀那, avadana)

- 비유(譬喩)라고 번역. 경전 중 비유를 설한 경문.

⑨우바데사(優波提舍, upadesa)

- 논의(論義)라고 번역. 교법의 의리를 논의 문답한 경문.

⑩우타나(優陀那, udana)

- 무문자설(武問自說)이라고 번역. 묻는 이 없는데 부처님께서 스스로 말씀하신 경문.

⑪비불략(毘佛略, vaipulya)

- 방광(方廣)이라 번역. 방정(方正), 광대(廣大)한 진리를 말한 경문.

⑫화가라(和伽羅, vyakarana)

- 수기(授記)라고 번역. 제자의 다음 세상에 날 곳을 예언하거나 보살에게 성불의 수기를 주는 경문.

 

이 12부 가운데 수다라와 기야와 가타는 경문상의 체재이고, 나머지 9부는 경문에 실린 내용을 따라 이름 붙여진 것이다.]

을 배우되, 계를 외우는 자는 날마다 여섯 번 때를 맞추어 보살계를 외워 그 뜻과 불성(佛性)을 깨달아야 한다.

만일 보살이 한 구절, 한 게송도 알지 못하면서 능히 잘 안다고 속이는 자는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며 또한 타인을 속이는 것이다.

또 낱낱이 해석하지도 못하고 일체법을 알지도 못하면서 타인의 스승이 되어서 계를 주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19계 두 말을 하지 말라(兩舌戒)

 

불자로서 나쁜 마음을 품고, 계율을 지키는 비구가 향로를 들고 보살행을 행하는 것을 보고 트집을 잡거나 이간하여 싸움을 걸게 하지 말라.

어진 사람을 속여서 끝없이 악을 짓게 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0계 방생을 행하라(不行放救戒)

 

불자여, 자비스러운 마음으로 방생을 행하라.

일체의 남자는 나의 아버지요, 일체의 여자는 나의 어머니이니 내가 세세생생 그들의 몸을 빌려서 생을 받지 않는 바가 없다.

육도중생이 모두 나의 부모이거늘 죽여서 먹는 자는 곧 나의 부모를 먹는 것이며 나의 옛 몸을 죽여서 먹는 것이니라.

일체의 땅과 물은 나의 옛 몸이요, 일체의 불과 바람은 나의 본체이니 항상 방생을 행할지어다.

세세생생에 몸을 받음은 영원한 법칙이라, 사람에게 두루 방생을 권하고 세상 사람들이 축생을 해치는 것을 볼 때는 마땅히 방편으로 구호하여 그 고난을 풀어주고 보살계를 강설하여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

만약 부모형제가 죽거든 마땅히 법사를 청하여 보살계와 경율을 강설하여 죽은 이의 복을 도와서 제불을 친견하고 천상이나 인간 세상에 태어나게 해야 하거늘 만약 그렇게 하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이와 같이 열 가지 계율을 마땅히 배워서 지극한 마음으로 받들어 수지하라.

멸죄품(滅罪品) 중에 낱낱이 계상(戒相)을 밝혔느니라.

 

 

제21계 화내고 때려서 원수를 갚지 말라(瞋打報讎戒)

 

불자로서 화를 내어 원수를 갚거나 때려서 원수를 갚지 말라.

만약 부모나 형제, 육친의 원수일지라도 갚지 말며 나라의 주인이 타인에게 죽임을 당했을지라도 원수를 갚지 말라.

죽임으로써 죽임을 갚는 것은 효순하는 도가 아니니라.

아래 사람들을 꾸짖고 나무라서 날마다 입으로 짓는 세 가지 죄도 한량없거늘, 하물며 고의로 칠역(七逆)의 죄를 짓겠는가?

출가한 보살로서 자비심이 없이 육친의 원수에 이르기까지 원수를 갚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2계 교만을 버리고 법문을 청하라(憍慢不請法戒)

 

불자로서 처음 출가하여 아는 바가 없으면서도 스스로 총명과 식견이 있다고 믿거나 혹은 스스로를 높이거나 나이 많음을 믿거나, 대성(大姓), 높은 가문, 많이 앎, 큰 복과 부유함을 믿고서 교만한 나머지 먼저 배운 법사에게 경율을 배우고 묻는 것을 꺼려하지 말지니라.

그 법사가 이름 없는 성씨(姓氏)거나 나이가 어리거나 가문이 비천하거나 가난하거나, 몸이 불구라도 실로 덕이 있어서 일체 경율을 모두 알거든, 이제 막 배우는 보살은 법사의 신분을 묻지 말아야 하거늘, 오히려 그러한 이유로 법사에게 제일의제(第一義諦)를 묻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3계 교만심으로 가르치지 말라(憍慢僻說戒)

 

만약 불자로서 부처님께서 멸도(滅度)<입적, 열반>하신 후에 좋은 마음으로 보살계를 받고자 하거든, 불보살의 형상 앞에 나가서 스스로 계 받기를 서원하되, 마땅히 칠 일 동안 부처님 앞에 참회하여 감응을 얻으면 계를 받거니와, 만약 감응을 얻지 못하거든 마땅히 14일, 21일 내지 일 년 동안이라도 감응이 있기를 원할지니, 감응을 얻은 뒤에야 비로소 불보살의 형상 앞에서 계를 받을지니라.

만약 감응을 얻지 못하면 비록 불상 앞에서 계를 받았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계를 받았다고 할 수 없느니라.

만약 먼저 보살계를 받은 법사 앞에서 계를 받을 때는 불보살의 감응이 필요치 않나니 왜냐하면 법사는 그 스승으로부터 온전히 계를 전해 받은 까닭이니라.

이로써 법사 앞에서 계를 받을 때 지극하고 정성스러운 마음을 발하면 곧 계를 얻을 것이니라.

만약 천 리 안에 능히 수계사(授戒師)가 없거든 불보살의 형상 앞에서 스스로 서원하여 계를 받되[自誓授戒]<천 리 이내에 계를 줄 수계사가 없을 경우 불보살의 형상 앞에서 기도하고 감응을 얻으면 수계가 인정되는 것. 예를 들어 향이나 촛불이 저절로 불붙는 등의 신기한 일이 있을 경우 수계가 인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말의 대은낭오(大隱朗旿, 1780~1841)율사가 지리산 칠불암에서 기도하여 향에 저절로 불이 붙는 상서로운 모습을 보고 자서수계하였다고 한다.> 좋은 감응을 얻어야 하느니라.

만약 법사가 스스로 경율과 대승계를 잘 아는 것을 믿고서, 국왕, 태자, 백관에게는 잘 가르쳐 주고, 새로 배우는 보살이 와서 경전의 가르침과 율의(律儀)를 물으면 경시하는 마음과 나쁜 마음, 교만한 마음으로 잘 대답해주지 않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4계 부지런히 불계(佛戒)를 배우고 닦으라(不習學佛戒)

 

만약 불자로서 부처님의 경율과 대승법과 바른 견해[正見], 바른 불성[正性], 바른 법신[正法身]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지런히 배우고 닦고 익히지 않아서 칠보(七寶)를 버리며 이승(二乘)과 외도의 속전(俗典)과 아비담잡론(阿毘曇雜論)<아비담은 범어 abhidharma의 음역. 진리에 대한 연구를 의미한다. 주로 소승불교에서 행해진 불법에 대한 분석적 연구였으나 후기에는 사변적이며 형이상학적인 논의로 그치게 되었다. 대승불교에서는 소승불교의 지나친 사변적 연구와 독선적인 엘리트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대승불교는 소승불교를 비판하면서 일어난 새로운 불교이니 만큼 아비달마불교의 현학성을 철저히 비판하고 있다.>을 배우는 것은, 불성을 끊는 것이며 도를 구함에 장애가 되는 인연이라, 보살도를 행하는 것이 아니니 만약 고의로 범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5계 대중을 잘 섬기라(不善知衆戒)

 

불자로서 부처님께서 멸도하신 후에 설법하는 사람[說法主]<부처님을 대신해서 부처님의 법을 대중에게 강설하는 분으로 조실스님이나 법사스님, 그리고 포교사스님을 가리킴>이 되거나,

법을 행하는 사람[行法主]<여법한 행동으로 대중들의 기강을 잡는 분으로 율사스님이나 전계사스님을 뜻한다.>이 되거나, 절 주인이 되거나,

교화하는 주인이 되거나<교화주(敎化主)는 중생에게, 대중들에게 선근공덕을 지을 수 있도록 일러주고, 가르치시는 분들로 교화승(敎化僧), 화주승(化主僧)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좌선하는 주인이 되거나<좌선주(坐禪主)는 참선이나 삼매, 수행에 대해 일러주시고, 가르치시는 분으로 선방에 가면 입승(入繩)이라고 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분들을 일컫는다.>,

행래하는 주인[行來主]<대중들의 출입을 관장하는 분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손님들을 접대하는 분으로 요즘의 지빈(知賓)이나 지객(知客) 등의 소임을 맡은 분들이다.>이 되거든, 마땅히 자비심으로 잘 화합시키며 삼보의 재산을 잘 지켜서 헛되이 쓰지 않기를 마치 자기의 것과 같이 해야 하거늘, 도리어 대중을 어지럽히며 교만한 마음으로 삼보의 재산을 낭비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6계 혼자 이익을 받지 말라(獨受利養戒)

 

만약 불자로서 승방에 머물면서 신도나 비구가 절이나 마을, 성읍 또는 국왕의 택사, 하안거처의 큰 모임에 오는 것을 보거든, 마땅히 나아가서 맞이하여 음식으로 공양하고 방과 이부자리, 노끈의자, 나무의자 등의 여러 가지를 제공하여야 한다.

만약 공양물이 없거든 마땅히 자신의 몸과 아들 딸, 자신의 살을 베어 팔아서라도 필요한 물건을 공급하여 모든 것을 아끼지 말지어다.

또한 만약 신도가 와서 뭇 스님을 초청하거든, 객승도 공양 받을 자격이 있으니 승방주(僧坊主)<사찰의 재산이나 살림살이를 관장하는 분으로 요즘의 주지스님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는 마땅히 차례대로 객승도 불러 초청을 받게 해야 한다.

먼저 살던 스님만 혼자 초청을 받고 객승을 부르지 아니하면 승방주는 한량없는 죄를 얻게 되나니, 이는 축생과 다름이 없어서 사문(沙門)도 불제자도 아니며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7계 홀로 초정을 받지 말라(受別請戒)

 

불자로서 별청(別請)을 받아서 홀로 공양을 받지 말라.

이 공양은 시방의 모든 스님들에게 속한 것이거늘, 홀로 초청을 받은 것은 곧 시방의 모든 스님들의 물건을 혼자 받은 것과 같은 것이 되며, 팔복전(八福田)인 모든 부처님과 성인, 모든 스님과 부모, 병든 사람의 재물을 자기가 취하여 짐짓 쓰는 것이므로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8계 스님들을 차별하여 초청하지 말라(別請僧戒)

 

불자로서 출가보살과 재가보살과 모든 신도들[檀越-범어 danapati의 역어. 보시를 행하는 사람. 신도 또는 시주(施主)를 말한다.>이 복전(福田)인 스님을 초청하여 소원하는 바를 구하고자 할 때는, 마땅히 소임을 맡은 스님에게 “차례대로 시방의 어진 스님들을 청하고자 합니다.”라고 말해야 하거늘, 오백 나한과 보살승은 따로 청하고, 일체 범부승(凡夫僧)은 차례대로 초청하지 않는 것은 경구죄를 범하는 것이 된다.

또 스님들을 따로 초청하는 것은 바로 외도의 법이며,

칠불(七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이전에 출현한 과거의 일곱 부처님. ①비바시불(毘婆尸佛, Vipasyin) ②시기불(尸棄佛, Sikhin) ③비사부불(毘舍浮佛, Visvabhu) ④구류손불(拘留孫佛, Krakucchanda) ⑤구나함모니불(俱那含牟尼佛, Kanakamuni) ⑥가섭불(迦葉佛, Kasyapa) ⑦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Sakyamuni). 이상의 칠불 가운데 앞의 세 부처님은 과거에 출현하셨다고 하며 뒤의 네 부처님은 현재에 출현하셨다고 한다.>의 법도에는 스님을 별도로 초청하는 법이 없느니라.

이는 효순법이 아니니 만약 고의로 스님들을 따로 청하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29계 나쁜 직업을 갖지 말라(邪命戒)

 

불자로서 나쁜 마음으로 이익을 위해서 남녀의 색을 팔고, 자기의 손으로 음식을 만들거나 맷돌을 갈고 방아를 찧거나 남녀의 점을 보아서 길흉을 해몽하면 안 된다.

또 주술과 술법으로 남의 눈을 속이는 방법과 백 종의 독약과 천 종의 독약을 섞어서 뱀독과 금독(金毒)과 은독(銀毒), 벌레독을 만들지 말지어다.

이는 모두 자비심을 없애는 짓이며 효순심을 없애는 것이니 만약 고의로 범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0계 속인과 어울려 나쁜 짓을 하지 말라(經理白衣戒)

 

만약 불자로서 나쁜 마음으로 삼보(三寶)를 비방하면서도 가까이 모시는 척하며, 입으로는 공(空)을 말하면서 유(有)를 행하며 속인과 어울려 세속 일을 생각하며, 남녀를 서로 소개하며 만나서 음행을 하게 하여 모든 속박을 짓고, 육재일(六齋日)<재가신자가 팔관재계(8계)를 수지해야 하는 삼장재월로서 정월과 5월, 9월의 8일, 14일, 15일, 24일, 29일, 30일>

삼장재월(三長齋月)<일 년 중 살생과 과대한 소비를 그치고 보다 검소한 생활을 해야 하는 세 달. 삼장재월은 생류(生類)가 출현하는 정월과 생류가 번식하는 5월, 생류가 생식하는 9월이다. 이때 재가신자는 팔관재계(八戒)를 수지해야 한다.>에 살생, 도둑질을 하여 재를 파하고 계를 범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이와 같은 열 가지 계를 공경스러운 마음으로 받들어 지니라.

제계품(制戒品) 중에 널리 밝혔느니라.

 

 

제31계 값을 치르고 구하라(不行救贖讀戒)

 

불자여, 부처님께서 멸도(滅度)하신 뒤 악세(惡世)에, 만약 일체 외도와 악인과 도둑이, 부처님이나 보살, 부모의 형상을 팔거나 경율을 팔고 비구, 비구니를 팔며, 보리심을 발한 보살도 인을 팔아서 관청이나 권문세가의 노비로 삼고자 하거든 보살은 이를 보고 마땅히 자비심을 베풀어서 방편으로 구호할지어다.

또 곳곳에서 교화하고 값을 치러서 불, 보살의 형상과 비구, 비구니, 발심보살과 일체 경율을 구해야 하거늘 그렇게 하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2계 중생을 해롭게 하지 말라(損害衆生戒)

 

불자여, 칼, 몽둥이, 활, 화살을 쌓아두고 팔지 말며 저울을 속이거나 되를 속여 팔지 말지어다.

관청의 위세를 믿고 다른 사람의 제물을 빼앗거나 해칠 마음으로 결박하여 공덕을 파괴하지 말라.

고양이나 너구리, 돼지, 개를 기르지 말지니 만약 고의로 기르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3계 나쁜 것을 보거나 듣지 말라(邪業覺觀戒)

 

불자로서 나쁜 마음으로 모든 남녀의 싸움을 보거나 군대가 진을 치고 싸우는 것을 보거나 도둑의 무리가 싸우는 것을 보고 듣지 말지어다.

또한 나팔, 북, 뿔피리, 거문고, 비파, 쟁(箏), 피리, 공후, 노랫소리 등의 기악을 듣지 말며 바둑과 장기, 승마놀이, 주사위 던지기, 제기차기, 공차기, 항아리구멍에 돌 던져 넣기, 팔도행성(八道行城) 놀이를 하지 말며 거울조각, 버드나무 가지, 발우, 해골로 점을 치지 말며 도적들의 심부름꾼이 되지 말라.

만약 고의로 범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4계 잠시라도 보리심을 잊지 말라(暫離菩提心戒)

 

불자로서 금계(禁戒)를 호지(護持)하여, 걷거나 서거나 앉거나 누울 때나 아침, 저녁의 여섯때에 모두 이 계를 독송하되, 마치 금강과 같이 굳게 하며, 바람주머니를 가지고 큰 바다를 건너는 것과 같이 하며,

초계비구(草契比丘)<[현우경] 제5 {사미수계자살품}에 보이는 한 비구의 목숨을 건 계율 수지에 관한 이야기. [대장엄경론] 제3에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옛날 한 비구가 홀로 광야를 여행하다가 도적을 만나 발우를 모두 빼앗기고 옷도 모두 빼앗겼다. 그때 도적들은 이 비구를 살려두면 마을로 달려가 사람들에게 알릴 것이므로 죽이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도적 중의 한 사람이 죽일 필요는 없고 비구들의 법으로는 풀 한 포기도 해칠 수 없으므로 이 비구를 풀에 묶어 놓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도적들은 비구를 풀에 묶어 놓고 가버렸다. 풀에 묶인 비구는 풀이 뽑힐까봐 움직이지도 못하고 있었다. 옷도 모두 빼앗겨서 뜨거운 태양과 벌레들이 그를 괴롭혔으나 이 비구는 끝내 계를 지키고 있다가 지나가는 사람에 의해 마침내 풀에서 풀려났다”고 하는 이야기이다.>와 같이, 항상 대승에의 거룩한 믿음을 내어 나는 아직 성불하기 전이요, 모든 부처님들은 이미 부처를 이루었음을 깨달아 보리심을 발하게 할지어다.

또 생각 생각마다 퇴굴(退屈)하는 마음을 내지 말 것이며, 만약 한 생각이라도 이승성문(二乘聲聞)이나 외도의 마음을 일으키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5계 항상 발원을 하라(不發願戒)

 

불자로서 항상 마땅히 일체의 원(願)을 발하되 부모, 스승, 스님에게 효순하고, 좋은 스승과 같이 배우는 선지식을 만나서, 대승경율과 십발취(十發趣), 십장양(十長養), 십금강(十金剛), 십지(十地)를 법답게 배워 바른 이치를 깨닫게 하고, 여법히 수행하도록 할 것을 발원하며, 부처님 계율을 굳게 지키는 일에 신명을 바칠지어다.

또 생각 생각마다 물러섬이 없기를 발원할지니 만약 모든 보살들이 이와 같은 원을 발하지 않는다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6계 굳센 서원을 세우라(不發誓戒)

 

불자로서 다음과 같은 굳센 서원을 세워야 하느니, 부처님의 계율을 굳게 지니고 “차라니 이 몸을 타오르는 불구덩이와 칼산에 던질지언정 삼세제불의 경율을 훼손치 않으며 일체 여인과 더불어 부정한 행동을 하지 않겠다.”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뜨거운 철망으로 천 겹으로 몸이 묶일지언정 파계한 몸으로 신심 있는 신고가 공양하는 일체의 옷을 받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이 입으로 뜨거운 쇠구슬과 쇳물을 마시면서 백 천겁을 보낼지언정 파계한 입으로 신심 있는 신도가 보시하는 백 가지 음식을 먹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이 몸이 뜨겁게 타오르는 불길과 쇠 그물로 덮인 땅 위에 누울지언정 파계한 몸으로 신심 있는 신도가 제공하는 백 가지 침상과 의자를 받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이 몸이 삼백 자루의 창으로 찔려서 일 겁, 이 겁을 보낼지언정 파계한 몸으로 신심 있는 신도가 제공하는 백 가지 의약을 받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이 몸을 끓는 솥에 던져서 백 천겁을 보낼지언정 파계한 몸으로 마침내 신심 있는 신도가 희사하는 천 가지 방사, 가옥, 숲과 정원을 받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쇠망치로 이 몸을 부수어, 머리에서 발까지 티끌이 될지라도 파계한 몸으로 신심 있는 신도의 공경예배를 받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백 천 자루의 뜨거운 칼과 송곳으로 두 눈을 찌를지언정 파계한 마음으로 마침내 남의 아름다운 용모를 쳐다보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백 천 자루의 송곳으로 귀를 찔러서 일 겁, 이 겁을 보낼지언정 파계한 마음으로 좋은 소리를 듣지 않으리라”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니 백 천 자루의 칼로 이 코를 도려낼지언정 파계한 한 마음으로 마침내 모든 좋은 향기를 맡지 않겠다.”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차라리 백 천 자루의 칼로 이 혀를 잘라낼지언정 파계한 마음으로 마침내 사람들이 먹는 백 가지 좋은 음식을 먹지 않겠다.”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한 “차라리 날카로운 도끼로 이 몸을 쪼갤지언정 파계한 마음으로 마침내 부드러운 촉감을 탐착하지 않겠다.”라는 서원을 세우라.

또 “원컨대 일체중생이 모두 함께 성불하여지이다.”라는 서원을 세우라.

보살이 이와 같이 서원을 세우지 않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7계 험난한 곳에 가지 말라(冒難遊行戒)

 

불자로서 마땅히 봄, 가을 두 번 해제(解制) 때의 두타행(頭陀行)과 겨울, 여름의 안거(安倨) 기간에는 칫솔, 비누, 삼의(세 벌의 가사), 병, 좌구, 석장(주장자), 향로상자, 녹수낭(물주머니), 수건, 작은칼, 성냥, 족집게, 노끈의자, 경(經), 율(律), 불상(佛像), 보살상(菩薩像)을 상용하되, 보살은 두타행을 행할 때와 여행시에 백 리 천 리를 가더라도 이 열여덟 가지 물건을 항상 소지하도록 하라.

두타행<頭陀行- 범어 Dhuta의 음사. 욕심을 버리고 번뇌를 털어 버린다는 뜻.

초기불교 이래 무소유, 무집착, 인욕을 체득하기 위한 불교수행자들의 수행방법.

모두 12가지 두타행이 있다.

① 산림과 황야에서의 생활(在阿蘭若處),

② 항상 걸식한다.(常行乞食),

③ 빈부를 차별하지 않고 차례대로 걸식한다.(次第乞食),

④ 하루 한 때만 걸식한다.(受一食法),

⑤ 밥을 욕심내어 먹지 않는다.(節量食),

⑥ 오후에는 쥬스나 우유도 마시지 않는다.(中後不得飮漿),

⑦ 사람들이 쓰고 버린 천으로 옷을 만들어 입는다.(着弊衲衣),

⑧ 다만 세 가지 가사만을 소지한다.(但三衣),

⑨ 묘지에서 산다.(塚間住),

⑩ 나무 아래에 산다.(樹下止),

⑪ 지붕이나 벽이 없는 곳에 앉는다.(露地座),

⑫ 다만 앉기만 할 뿐 눕지 않는다.(但座不臥).>

은 정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그리고 8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행하는 것이니, 이 두 때에는 이 열여덟 가지 물건을 항상 그 몸에 따르게 하여 마치 새의 두 날개와 같이 할지어다.

만약 포살(布薩)을 행하는 날이거든 새로 배우는 보살은 반월반월(보름마다)에 항상 포살을 행하되, 십중계(十重戒)와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를 외우라.

만약 계를 외울 때는 마땅히 여러 불, 보살형상 앞에서 외우되, 한 사람이 포살하면 한 사람이 외울 것이니, 외우는 자는 높게 앉고 듣는 자는 아래에 앉아서 모두 9조, 7조, 5조 가사를 수하라.

만약 하안거를 결제하거든 마땅히 하나하나 여법하게 하고 두타행을 행할 때에도 험난한 곳에 들어가지 말지니, 만약 나쁜 나라와 나쁜 국왕, 토지의 높고 낮음, 초목이 깊고 험하거나 사자, 호랑이, 물, 불, 바람의 재난과 도둑의 도로와 독사가 있는 험난한 곳에는 일체 들어가지 말지어다.

두타를 행할 때와 하안거 결제시에도 이처럼 험난한 곳에는 모두 들어가지 말지니 만약 고의로 들어가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8계 위 아래의 차례를 어기지 말라(乖尊卑次第戒)

 

불자로서 법다히 차례대로 앉되 먼저 수계한 자는 앞에 앉고 뒤에 수계한 자는 뒤에 앉도록 하라.

또 나이가 많거나 적거나 비구, 비구니, 귀인, 국왕, 왕자, 황문(黃門), 노비(奴婢)를 불문하고 마땅히 먼저 수계한 사람은 앞에 앉고 뒤에 수계한 사람은 순서대로 앉아서, 외도의 어리석은 사람들이 행하는 것과는 같게 하지 말지어다.

만약 노소가 없고, 전후가 없고 앉는 차례가 없다면 이는 병졸과 노비의 법이다.

우리 불법에서는 먼저 온 자는 앞에 앉고 뒤에 온 자는 뒤에 않거늘, 낱낱이 차례대로 앉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39계 복덕과 지혜를 닦으라(不修福慧戒)

 

불자로서 항상 마땅히 일체중생을 교화하되 승방, 산림, 전원(田園)을 건립하고 불탑을 세우며 겨울과 여름 안거의 좌선 처소와 일체의 수도처를 마땅히 세울지니라.

보살이 일체중생을 위하여 대승경을 강설할 때에도, 질병과 국난, 도적이 있을 때도, 부모형제나 화상, 아사리가 죽는 날에도, 삼칠 일, 사오칠 일 내지 칠칠일에도 또한 마땅히 대승경율을 강설해야 한다.

크고 작은 화재와 수재, 폭풍에 휩쓸린 배와, 큰 강이나 바다에서 나찰의 재난을 만났을 때에도 대승경율을 독송하고 강설해야 한다.

또 일체 죄업의 과보와 삼악(三惡), 팔난(八難), 칠역(七逆)과 수갑과 족쇄로 몸이 묶이거나 음욕이 많고 성냄이 많고 어리석거나 질병이 많을 때에도, 이 경율을 강설해야 하거늘 처음 배우는 보살이 이를 행하지 않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이와 같은 아홉 가지 계율을 응당히 배워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받들어지니라.

범단품(梵檀品)에 널리 밝혔느니라.

 

 

제40계 가려서 계를 주지 말라(揀擇受戒戒)

 

불자로서 사람들에게 계를 줄 때에는 차별하거나 간택하지 말라.

국왕과 왕자, 대신, 백관, 비구, 비구니, 신남(信男), 신녀(信女), 음남(淫南), 음녀(淫女)와 18범천, 육욕천자(六欲天子)와 무근(無根), 2근(二根), 황문(黃門-내시나 고자), 노비와 일체 귀신이 모두 계를 받을 수 있느니라.

마땅히 몸에 수지하는 가사는 모두 염색하여 계율의 가르침과 맞게 하되 모두 청, 황, 적, 흑, 자색으로 물들이게 하며 일체의 옷과 와구(臥具)도 모두 염색케 할지어다.

몸에 입는 옷도 모두 염색하여 모든 나라 사람들이 입는 옷과 비구의 옷 색깔이 다르게 할지어다.

만약 계를 주고자 할 때에는 스승은 마땅히 “그대는 지금 그 몸으로 칠역죄(七逆罪)를 짓지 않았는가?”라고 물으라.

보살법사는 지금 그 몸으로 칠역죄를 지은 사람에게는 계를 줄 수 없느니라.

칠역(七逆)이란 부처님 몸에 피를 내게 한자[出佛身血], 아버지를 죽인 자[殺父], 어머니를 죽인 자[殺母], 화상을 죽인 자[殺和尙], 아사리를 죽인 자[殺阿闍梨], 파갈마전법륜승[破羯磨轉法輪僧], 성인을 죽인 자[殺聖人]이니라.

만약 칠역죄를 모두 지었다면 현재의 몸으로는 계를 받을 수 없느니라.

그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계를 받을 수 있느니라.

출가인의 법은 국왕에게도 예배하지 않으며 부모에게도 예배하지 않으며, 세속의 육친(六親)도 섬기지 않느니라.

그러나 법사의 말을 알아듣고 백 리 천리를 와서 법을 구하는 자가 있는데도 보살법사가 나쁜 마음과 성내는 마음으로 일체중생에게 계(戒)를 주지 않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1계 이익을 위해서 스승이 되지 말라(爲利作師戒)

 

불자로서 사람을 교화하여 신심을 일으키게 하고, 계를 주는 법사(法師)가 되어 계를 받고자 하는 사람을 보거든, 마땅히 두 전계화상과 아사리에게 가르침을 청하도록 하라.

두 전계법사는 마땅히 “그대는 칠역죄(七逆罪)를 짓지 않았는가?”라고 물어서 만약 칠역죄를 지었거든 계를 주지 말 것이며 칠역죄를 짓지 않았거든 계를 주도록 할 지어다.

만약 열 가지 계[十戒]를 범한 자는 마땅히 참회하도록 가르치되, 불상이나 보살상 앞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여섯 때로 십중계와 사십팔경계를 외우도록 하고, 삼세천불(三世天佛)에게 절을 하도록 하여 감응을 얻도록 하되, 7일(일 칠일), 14일(이 칠일) 내지 일 년이라도 좋은 감응을 얻도록 할지니라.

좋은 감응이란 부처님께서 정수리를 만지시거나 광명을 보거나, 꽃을 보는 등의 여러 가지 신이한 감응을 말하는 것이니, 감응을 얻으면 죄를 멸할 것이나 감응을 얻지 못하면 비록 참회한들 이익이 없을 것이니라.

이러한 사람은 현재의 몸으로는 계를 받을 수 없으며 증익수계(增益受戒)<죄업이 너무 깊어서 현세의 몸으로는 수계할 수 없고 복덕을 쌓은 뒤에 계를 받도록 하는 것>를 받도록 할지니라.

만약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대수참회(對首懺悔)-자신의 죄를 한 사람의 스승에게 고백하고 참회함. 시방의 불보살에게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는 것은 방등참(方等懺)이라고 한다.>를 범할 경우 법사에게 참회만 하면 문득 죄가 소멸하리니 일곱 가지 죄와는 다르다.

그러므로 교계법사는 이 법의 모든 것을 낱낱이 잘 알아야 하거늘, 만약 대승경율의 경중(輕重)과 옳고 그름을 잘 알지 못하며, 제일의제(第一義諦)와 습종성(習種性), 장양성(長養性), 성종성(性種性), 불가괴성(不可壞性), 도종성(道種性), 정법성(正法性)을 알지 못하며, 그 중의 다소 관행(觀行)의 차이와 십선지(十善支)와 일체 행법을 낱낱이 잘 알지 못하면서, 단지 이익과 명예를 위해서 나쁜 마음으로 구하고 탐욕으로 구하며, 제자에 대한 탐욕으로 일체의 경율을 거짓으로 가르치면, 이는 오직 자신의 공양만을 위한 것이니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을 기만하는 것이다.

짐짓 이익을 위해서 계를 구하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2계 악인에게 계를 설하지 말라(爲惡人說戒戒)

 

불자로서 이익을 위하여 아직 보살계를 받지 않은 사람과 외도악인에게는 천불(千佛)의 대계를 설하지 말며 사견인 앞에서도 계를 설하지 말지니 국왕을 제외한 나머지 일체 악인과 외도에게는 계를 설하지 말지어다.

이 악인의 무리는 부처님의 계를 받지 않았으므로 이름 하여 축생이라고 한다.

또 태어나는 곳마다 삼보(三寶)를 볼 수 없으며 마치 목석과 같이 무심하여 이름 하여 외도라고 한다.

사견을 가진 사람은 나무토막과 다름없거늘 보살이 이와 같은 악인 앞에서 칠불의 가르침과 계율[七佛敎戒]을 설하게 되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3계 고의로 계를 범할 마음을 일으키지 말라(故起犯戒戒)

 

불자로서 신심으로 출가하여 부처님의 바른 계를 받고, 고의로 마음을 일으켜서 성스러운 계를 훼범(毁梵)하는 자는, 일체 신도의 공양을 받지 못하며, 국왕의 땅을 밟고 다니지 못하며, 국왕의 물을 마시지 못하느니라.

또, 오천의 대귀(大鬼)가 항상 그 앞을 가로막으면서 “큰 도적”이라고 말하며, 만약 방이나 도시, 집에 들어가면 귀신이 항상 그 발자국을 쓴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를 꾸짖어 말하되 “불법 중의 도적”이라고 하며 일체중생이 쳐다보려고도 하지 않으니, 계를 범한 사람은 축생과 다름이 없으며, 나무토막과 다름없다.

만약 고의로 계를 어길 마음을 일으키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4계 경전을 소중히 여기라(不供養經典戒)

 

불자여, 항상 마땅히 마음으로 대승의 경율을 수지 독송할지니, 살갗을 벗겨 표지를 삼고 피를 뽑아서 묵(墨)을 삼으며 골수로써 물을 삼으며, 뼈를 꺾어 붓을 삼아서 부처님의 계율을 서사하며, 나무 껍질, 곡식 껍질, 비단, 하얀 종이, 대 껍질에 서사하여 수지하되, 항상 칠보와 귀한 향화와 일체의 갖가지 보배로 향주머니를 만들어서 경율의 책자를 보관할지어다.

만약 여법하게 공양하지 않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5계 중생을 교화하라(不化衆生戒)

 

불자는 항상 대비심을 일으켜 모든 도시와 집에 들어가 일체중생을 보거든, 마땅히 소리쳐 “그대 중생들이여, 모두 마땅히 삼귀의계(三歸依戒)와 십계(十戒)를 받으라.”고 외치라.

만약 소, 말, 돼지, 양 등의 축생을 보거든 마땅히 마음으로 생각하고 기원하되 “그대들 축생들이여, 보리심을 발하라”라고 말하라.

보살은 산이나 강, 들에 가더라도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보리심을 발하게 해야 하거늘 보살이 중생을 교화할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6계 법답게 설법하라(說法不如法戒)

 

불자로서 항상 교화하여 대비심을 일으키되 서서 설법하지 말고 마땅히 대중 앞의 높은 좌석에 앉아서 설법하라.

법사비구는 땅 위에 서서 사부대중을 위해서 설법하지 말지니, 만약 설법할 때는 높은 법좌에 올라 향과 꽃으로써 공양 받고, 설법을 듣는 사부대중은 낮은 자리에 앉아 마치 부모에게 효순하듯 법사의 가르침을 공경하고 따라야 할지니 만약 그 설법자가 법답게 설법하지 않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7계 옳지 못한 법으로 억누르지 말라(非法制限戒)

 

불자로서 이미 부처님의 계를 받은 국왕이나 태자, 백관, 사부제자는 스스로의 고귀함을 믿고 부처님법의 계율을 파멸시키거나 통제하는 법을 만들어서, 우리의 사부제자(四部弟子, 사부대중)를 억누르거나 명부를 두어 스님들의 이름과 행적을 기록하지 말라.

또한 보살비구는 땅에 서고 속인은 높은 자리에 앉아서 널리 비법을 행하여 마치 병사와 노비가 주인을 섬기듯 하지 말라.

보살은 마땅히 모든 사람의 공양을 받아야 하거늘 도리어 관리가 부리거나 심부름꾼이 되면 비법비율(非法非律)이니라.

만약 국왕, 백관이 좋은 마음으로 부처님의 계를 받았거든 삼보(三寶)를 파하는 죄를 짓지 말지니 만약 고의로 불법을 파하는 죄를 지으면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제48계 불법을 파괴하지 말라(破法戒)

 

불자여, 좋은 마음으로 출가하였을진댄, 명예와 이익을 위해서 국왕, 백관 앞에서 부처님 계를 설하는 자가 될지니, 도리어 비구, 비구니, 보살계제자를 밧줄로 묶으며, 마치 죄인이나 병졸, 노비 다루듯 하지 말라.

마치 사자의 몸에서 자란 벌레가 사자의 살을 먹어 들어가듯 불자 스스로가 불법을 파할 뿐, 다른 외도나 천마(天魔)는 능히 파하지 못하느니라.

만약 부처님의 계를 받은 사람일진대 마땅히 부처님의 계를 수호하되, 외아들이 부모를 섬기듯 하여 가히 훼손하거나 파하지 말지어다.

그러므로 보살은 외도악인 나쁜 말로써 부처님의 계율을 비방하는 소리를 듣거든, 마치 삼백 자루의 창으로써 심장을 찌르는 듯 느끼며 천 자루의 칼, 만 자루의 몽둥이로 그 몸을 맞는 것과 다름없이 여길지어다.

차라리 지옥에 들어가 백겁을 지낼지언정 단 한 번이라도 악인이 부처님 계율을 비방하는 소리를 듣지 말아야 하거늘, 하물며 스스로 부처님의 계율을 파하며 사람을 시켜 불법의 인연을 파하게 하여 효순심을 끊으리오.

만약 고의로 짓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이와 같은 아홉 가지 계율을 마땅히 배워서 공경스러운 마음으로 받들어 지닐지어다.

 

 

 

제4장 가르침의 부촉

 

 

모든 불자들이여, 이 마흔 여덟 가지 가벼운 계[四十八輕戒]를 그대들은 수지 독송하라.

과거의 모든 보살들도 이미 수지 독송하였으며 미래의 모든 보살들도 마땅히 수지 독송할 것이며 현재의 모든 보살들도 수지 독송하느니라.

모든 불자들이여, 들으라.

열 가지 중요한 계[十重戒]와 마흔 여덟 가지 가벼운 계[四十八輕戒]를 삼세제불께서도 이미 독송하시고 마땅히 독송하실 것이며 지금 독송하시며 내가 지금 또한 독송하나니, 그대들 일체 대중은 만약 국왕이나 왕자, 백관이거나 비구, 비구니이거나 신남신녀라도 보살계를 수지하는 자는 마땅히 수지 독송할 것이며, 해설, 서사(書寫)하여 불성(佛性)이 상주하는 이 계권(戒券)이 삼세에 유통되어 일체중생에게 끊임없이 전해지며, 천불(千佛)이 보고 천불의 손에 있어서 세세토록 악도와 팔난에 떨어지지 않고 항상 인도(人道)와 천상(天上)에 나게 하라.

내가 이제 이 보리수 아래에서 간략히 칠불의 법계(法戒)를 설하였나니 그대들 대중은 마땅히 일심으로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를 배우고 기쁜 마음으로 받들어 행하라.

저 무상천왕품(無常天王品)의 권학(勸學)에 낱낱이 널리 밝혔느니라.

 

그때 삼천학사와 앉아서 듣던 사람들은 부처님께서 스스로 외우심을 듣고 지극한 마음으로 머리에 받들고 환희하며 수지하였다.

그때 석가모니불이 상연화대세계(上蓮華臺世界)의 노사나불께서 설하신 심지법문품(心地法門品) 중의 십무진장계법품(十無盡藏戒法品)을 설해 마치시니, 천백억 석가도 또한 이와 같이 설하시되 마혜수라천왕궁(摩醯首羅天王宮)의 십주처에서 설법하신 품을, 일체 보살과 수많은 대중을 위하여 수지 독송하시며 그 뜻을 해설함도 또한 이와 같음이로다.

천백억 석가와 연화장세계와 미진세계에서도 일체불의 심장(心藏)과 지장(地藏), 계장(戒藏), 무량행원장(無量行願藏), 인과불성상주장(因果佛性常住藏)과 일체불의 일체무량법장(一切無量法藏)을 설해 마치시니, 천백억세계의 일체중생이 수지하여 환희봉행하였다.

만약 심지(心地)의 모습을 널리 알려고 할진대 저 불화광칠행품(佛華光七行品)에서 설했느니라.

 

 

찬탄의 노래

 

지혜로운 사람은 인욕과 지혜가 강하여

능히 이와 같은 법을 수지하여

불도를 이루기 전이라도

다섯 가지 이익을 얻으리니

 

첫째는 시방의 부처님께서 애민하게

생각하셔서 항상 수호하심이요

 

둘째는 목숨을 마치려 할 때

바른 관찰로서 마음이 환희함이요

 

셋째는 나는 곳마다

모든 보살의 벗이 됨이요

 

넷째는 공덕이 모여서 지계바라밀을

모두 성취하게 됨이요

 

다섯째는 현재와 후세에

자성의 계를 지켜서 복덕과 지혜가

충만하게 됨이다.

 

이를 참된 불자라고 하나니

지혜 있는 이는 잘 생각하라

 

나를 계교(計校)하여 상(相)에 집착하는 이는

능히 이와 같은 법을 믿지 못하나니

열반만을 추구하는 자도

보리의 종자를 심을 수 없으리라.

 

보리의 싹을 키워서

세간에 광명을 비추게 하려면

마땅히 고요히 관찰하라.

 

제법(諸法)의 참된 실상은

생하는 것도 아니며

소멸하는 것도 아니다.

상주하는 것도 아니며

단멸하는 것도 아니다.

 

동일한 것도 아니며

다른 것도 아니다.

오는 것도 아니며

가는 것도 아니다.

 

이와 같은 마음과 방편으로

온 누리를 장엄하기를 권하여

보살은 마땅히 닦아야 할 바를

차제(次第)대로 배우나니

 

학(學)과 무학(無學)<學은 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을 닦는 것. 無學은 번뇌가 끊어져 더 배우거나 닦을 것이 없는 성인의 경지>에 분별하는 상을 내지 말라.

이를 이름 하여 으뜸가는 진리라고 하며

또한 이름 하여 마하연(摩訶衍)<대승(大乘)을 뜻함>이라고 한다.

일체의 희론처(戱論處)<무익하고 바르지 않은 말과 논의는 업과 번뇌를 낳을 뿐이며, 處는 세속을 말함.>는 이를 말미암아 멸하고

제불(諸佛)의 살바야(薩婆若)<범어 sarvajnata의 음역. 일체지(一切智)라고 옮김. 깨달음으로 일체존재의 실상을 아는 불보살의 지혜>는 모두 이로부터 나온다.

 

그러므로 불자여,

마땅히 청정한 가르침을

밝은 구슬과 같이 지켜 보호하라

 

과거의 모든 보살들이

이로부터 배웠으며

미래에도 마땅히 배울 것이며

현재도 배우나니

이는 부처님께서 행하시는 바요

성주(聖主)가 찬탄하는 바이로다.

 

내가 이제 가르침을 수순하나니

무량한 복덕의 모임을

모든 중생에게 회향하여

함께 일체지로 항하기를 원하옵나니

바라옵건대 이 가르침을 듣는 사람은

모두 불도가 이루어지이다.

 

 

 

-범망경(梵網經)

불설범망경보살심지품하(佛說梵網經菩薩心地品下) 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