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7

불설성관자재보살범찬(佛説聖観自在菩薩梵讃)

불설성관자재보살범찬(佛説聖観自在菩薩梵讃)서천(西天) 법현(法賢) 한역김영덕 번역불법승 삼보에 귀명하오며관자재보살님께 정례드리나이다.제가 지금 보살님의대비하신 공덕림(功徳林)을 찬탄드리나이다.제1 범찬(梵讃)부바나다라야 만녜다로가우롱 아마라디파디잉 소도뎨몯라함마바람 모니라자람 도로바싣디 가람 바라나 마 미바 로기다나타바람1)buvanantraya vaṃ midhalokakuruṃ amalatipatiyūṃ stutiprahmabaruṇa munirājalaṃ duruvajiti kalaṃ praṇaṃ mama iva lokitanādavalaṃ제2 범찬소가다 아밀리다 로파 소로바 다바호 락차나부사다녜 하바람 가나건 자미부사다바 마가람 구디라마라볘잉 가라 모다자디항2) sugata amṛta rūpa sur..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불설견정경

불설견정경일명 생사변식경동진 축담무란 한역송성수 번역이와 같이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 기국정사에 계셨다.걸식할 시간이 되자 5백의 비구와 천 명의 보살과 우바새를 거느리고서 모두 공양 도구를 가지고 라열기성(왕사성) 밖으로 나가셨다.큰 나무가 있었는데 이름은 감향이며, 뿌리는 깊었고 줄기는 컸으며, 가지와 잎은 무성하고 꽃과 열매가 모두 붉으며 그 맛은 달고 맛있었다. 나무 아래는 너르고 평평하였으며 돌을 모아 만든 자리가 있었다.부처님께서 그곳에 머물고자 하시자 여러 우바새들이 곧 자리를 펴서 깔았고, 부처님께서 곧 앉으시자 제자와 보살들도 모두 자리 잡고 앉았다.이때 견정이라는 한 비구가 있었는데 새로이 법복을 입고 들어온 자였다.그는 마음에 의심을 품고 혼자 이렇게 생각하였다.부처님께서..

카테고리 없음 2025.03.21

보편광명청정치성여의보인심무능승대명왕대수구다라니경

보편광명청정치성여의보인심무능승대명왕대수구다라니(普遍光明淸淨熾盛如意寶印心無能勝大明王大隨求陀羅尼) 붓다 바쉬땀 사만따 즈발라 말라 비슛데스푸리 끄리따 친따 마니 무드라흐리다야 아빠라지따 다라니마하 쁘라띠사라 마하 비댜 라자하 Buddha-bhashitam samanta-jvala-mala-viçuddhe, sphurî-krita-cinta-mani-mudra-hridaya-aparajita-dharanî, maha-pratisara, maha-vidya-raja`.  누구든지 이 명주(明呪)를 지송하거나목이나 팔에 지니고 다니면원하는 것이 모두 성취되며바라는 모든 것이모두 뜻대로 이루어지리라.천왕(天王)들이 모두 가호하고,모든 대용왕과 보살과 부처님[大勤勇]과연각과 성문모든 여래께서불모(佛母)의 큰 위덕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5.03.19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금광명최승왕경 제 1 권 대당삼장(大唐三藏) 사문 의정(義淨) 한역 장용서 번역 1. 서품(序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薄伽梵]께서는 왕사성(王舍城)의 취봉산(鷲峯山) 꼭대기에 계셨다. 그 가장 청정하고 매우 심오한 법계[法界], 모든 부처님들의 경계, 여래(如來)께서 머무시는 처소에서 큰 필추(苾芻) 대중 9만 8천 명과 함께 계셨다. 그들은 모두 아라한(阿羅漢)으로서 큰 코끼리 왕처럼 잘 길들여지고, 모든 번뇌[漏]를 이미 제거하여 다시는 번뇌가 없으며, 마음이 잘 해탈하고 지혜가 잘 해탈하여 할 일을 다 끝내고 모든 무거운 짐을 벗어버렸으며, 자신의 이익[己利]을 이미 얻어 삼계의 모든 결박을 끊고 큰 자재[大自在]를 얻어 청정한 계(戒)에 머무르며..

카테고리 없음 2025.03.04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요진(姚秦) 천축(天竺)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 한역   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 때 세존(世尊)께서 식사 때[食時]가 되자 가사(袈裟)를 입으시고 발우를 지니시고 사위성으로 들어가셨다. 그 성 안에서 탁발하시면서 차례로 빌어 빌기를 마치고는 계시던 곳으로 돌아와 진지를 잡수시고 나서 가사와 발우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시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이 때 장로(長老) 수보리(須菩提)가 대중 속에 있다가 일어나서 오른쪽 어깨를 벗어 메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하고 공경히 부처님께 아..

카테고리 없음 2025.03.01

불설아유월치차경( avivartika, avinivartanīya )

아유월치(阿惟越致) avivartika, avinivartanīya, 대승불교 보살의 한 경지. 대승불교에서, 보살은 유월치 보살과 아유월치 보살의 둘로 나뉜다.아유월치는 불퇴(不退), 무퇴(無退), 불퇴전(不退轉), 불퇴위(不退位), 아비발치(阿鞞跋致)라고도 번역한다. 반드시 부처가 되는 지위이며, 보살위에서 타락하여 범부가 되지 않는다. 불설아유월치차경(佛說阿惟越致遮經) 01. 상권-1 1. 불퇴전법륜품(不退轉法輪品)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 사위성(舍衛城)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유행하셨는데, 큰 비구 대중 일천이백오십 명과 함께 하셨다. 그때 세존께서 늦은 밤에 이구광(離坵光)이라고 하는 삼매정수(三昧正受)를 일으키셨고, 문수사리(文殊師利) 동자보살도 보명삼매(普明三昧)를 ..

카테고리 없음 2024.01.23

옥야경(玉耶經)

옥야경(玉耶經) 동진(東晋) 천축삼장(天竺三藏) 축담무란(竺曇無蘭) 한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네 무리의 제자들을 위하여 설법하고 계셨다. 이 때 급고독의 집에서는 지난 번에 아들을 위하여 장자의 집 딸을 며느리로 데려왔는데 이름은 옥야였다. 그녀는 단정하고 아름다웠지만 교만을 부리며 며느리의 예로 시부모와 남편을 받들어 섬기지 않았다. 급고독 장자 부부는 의논하였다. "며느리가 불순하여 예법을 따르지 않는구려. 매를 때리자니 이런 일은 하고 싶지 않고, 그렇다고 내버려두고 가르치고 꾸짖지 않는다면 그 허물이 점점 더하여질 것이니, 어찌하면 좋겠소?" 장자가 말했다. "오직 부처님 대성(大聖)만이 중생을 잘 교화하시어 강하고 굳센 자..

카테고리 없음 2022.10.17

불설옥야녀경(佛說玉耶女經)

불설옥야녀경(佛說玉耶女經) 역자 미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이 때 급고독(孤獨園) 장자(長者)는 아들을 위해 며느리를 맞고자 하여 부유하고 귀한 장자의 집 딸을 데려왔다. 그러나 그녀는 얼굴이 단정하기가 제일이었으나 방자하고 오만하여 며느리의 예로써 시부모와 남편을 받들어 섬기지 않았다. 급고독장자는 집안 사람들과 의논했다. “며느리가 오만 방자하니, 어떤 방법으로 가르쳐야 할까? 만일 몽둥이로 때린다면 그것은 좋은 법이 아니고, 만일 가르치지 않는다면 그 죄는 날마다 더하여질 것이다. 오직 부처님 대성(大聖)만이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공양을 준비하고, 다음 날 부처님을 청하기로 하였다. 부처님께서는 곧 청을 허..

카테고리 없음 2022.10.17

미래성수겁천불명경(未來星宿却千佛名經)

미래성수겁천불명경(未來星宿却千佛名經) 일명 집제불대공덕산(集諸佛大功德山) 실역인명(失譯人名) 오준호 번역 선을 닦으면 복이 이르고 악을 행하면 화를 불러들인다. 이렇게 명백한 이치가 분명한데도 믿고 깨닫는 이들은 드물어 이미 함께 이러한 오탁악세(五濁惡世)에 태어나 5음(陰)의 번뇌와 3독(毒)이 불처럼 타올라 생사를 거듭하며 다할 날이 없다. 옛날 부처님께서 세상에 계실 적에는 사람들의 수가 항하의 모래 수처럼 많았는데, 지금은 점차 감소하여 만에 하나도 남지 않았다. 무엇 때문인가? 선을 행하는 이가 적고 악을 행하는 이가 많아 죽어서 3도(塗)에 떨어져 모두 고기나 벌레, 축생이 되어 다시 사람의 몸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법화경』에서는 이르기를, “3악도(惡道)가 충만하면 천상과 인간의..

카테고리 없음 2022.10.11

현재현겁천불명경(現在賢劫千佛名經)

현재현겁천불명경(現在賢劫千佛名經)『집제불대공덕산(集諸佛大功德山)이라고도 이름한다.』 실역인명(失譯人名) 이운허 번역 그때에 희왕(喜王)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지금 이 대중 가운데 혹시 어떤 보살마하살이 이 삼매를 얻으며, 또한 8만 4천 바라밀문(波羅蜜門)과 모든 삼매문(三昧門)과 다라니문(陀羅尼門)을 얻은 이가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희왕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지금 이 모임 중의 보살마하살들이 이 삼매를 얻었으며, 또한 8만 4천 바라밀과 모든 삼매와 다라니문을 얻은 이가 있나니, 이 보살들은 이 현겁(賢劫)에서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려니와, 오직 이 현겁 중에서 이미 성불한 4여래(如來)는 제외할 것이니라.” 희왕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바라옵건대 저희들을 어여삐 여..

카테고리 없음 2022.10.11